민주 통합 결의…남은 과정은?

2011-12-12     김재현 기자

 
 

민주당은 11일 임시 전당대회를 열고 야권통합을 결의함으로써 시민통합당·한국노총 등이 참여하는 야권통합 정당 건설을 위한 당내 승인 절차를 마무리했다.

전대 이후 통합과 관련한 협상은 최인기 의원을 위원장으로 한 민주당 수임기구와 이용선 대표의 시민통합당 수임기구에서 진행한다.

양측은 이르면 12일 수임기구 합동회의를 개최해 통합을 최종 의결하고 당헌·당규를 확정할 방침이다. 합당이 의결되면 수임기구의 역할은 종료된다.

하지만 수임기구 합동회의에서 지도부 경선 룰 등을 놓고 갈등이 발생할 여지도 남아 있다.

현 지도부의 통합안에 대해 반대하고 있는 박주선 최고위원이 추천한 최 의원이 민주당 수임기구의 위원장을 맡았기 때문이다.

최근 손학규 대표와 결별을 선언한 박지원 전 원내대표와 뜻을 같이 하는 박양수 전 의원, 이현주 대구 북구 갑 지역위원장도 수임기구 위원에 포함돼 있다.

따라서 대의원 투표 30%, 당원·시민참여 투표 70%라는 지도부 경선의 큰 틀은 합의가 된 상황이지만 이를 둘러싼 이견은 언제든지 표출될 수 있다.

각 정파가 수임기구 합동회의에서 경선 룰에 대한 합의를 하지 못해 합당 결의가 지연될 가능성이 남아있는 것이다.

수임기구 합동회의에서 합당을 의결할 때까지 손 대표가 이끄는 현 민주당 지도부 체제는 유지된다. 그 뒤에는 민주당과 시민통합당, 한국노총이 참여한 임시지도부가 역할을 대신한다.

 

 

임시지도부 구성을 위한 논의는 현재 진행 중이며 수임기구 합동회의에서 최종 결정하게 된다. 임시지도부는 통합정당의 지도부를 뽑는 전당대회까지 존속한다.

양당은 지도부 후보를 뽑는 예비경선(컷오프) 작업에 빠르게 착수할 예정이다. 민주당과 시민통합당 측의 후보는 20여명으로 컷오프가 불가피한 상황인 반면 시간적 여유가 없기 때문이다.

시민통합당은 컷오프에 대한 민주당의 제안을 살펴본 뒤 방식을 결정할 방침이다.

앞서 민주당은 현장유세 뒤 중앙위원 1인3표제를 통해 후보를 9명으로 줄이는 컷오프 방식을 진행해왔다. 하지만 구체적인 컷오프 방안과 선거인단 구성에 대한 양당의 합의가 필요한 상황이다.

민주당에서는 한명숙 전 국무총리와 박 전 원내대표와 이인영·박주선·조배숙 최고위원 이종걸·김부겸·우제창 의원 등이 당권 주자 후보군으로 거론된다.

시민통합당 측에서는 문성근 국민의명령 대표, 이학영 전 YMCA 사무총장, 김기식 내가꿈꾸는나라 공동대표, 박용진 전 진보신당 부대표 등이 출마할 것으로 예상된다.

야권통합 정당의 당명은 국민 공모를 통해 정하기로 했으며 약칭은 '민주당'으로 합의했다. 내년 4월 총선에서의 공천과 관련해서는 국민참여 경선이라는 큰 틀의 합의를 마친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