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 “여의정 협의체 언제든 재개…의료계, 강성 주장에만 매몰 안됐으면”
대통령실은 3일 ‘여의정(여야의정·야당 불참 중) 협의체’ 중단 상황에 대해 “2025년 정원 문제가 걸림돌이 되다 보니 조금 쿨링타임(냉각기)을 가져보자는 정도고, 언제든지 다시 테이블에 앉아서 재개할 수 있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장상윤 대통령실 사회수석은 이날 오전 KBS 라디오 ‘전격시사’에 출연해 “의료계 내에 합리적 의견을 가진 분들이 많이 있다. 강성 주장에만 매몰되지 말고 의견을 모으는 거버넌스를 좀 변화를 해서 마련했으면 좋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장 수석은 ‘수시 미충원 인원 정시 미이월’ 등이 거론된 2025학년도 의대 정원 조정 가능성에 대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고 선을 그었다.
그는 “입시는 가장 중요한 게 예측 가능성”이라며 “학생 개인당 9번의 선택을 할 수 있는데, 예고됐던 것보다 안 뽑는다든지 이월을 안 하고 그냥 취소를 하면 이건 기회의 박탈”이라고 했다.
2000명이 증원된 5058명으로 정해져 있는 2026학년도 의대 정원에 대해서는, 의료계가 추계 근거를 갖춘 대안을 제시하는 것을 전제로 논의가 가능하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장 수석은 “1000명도 좋고 500명도 좋고 어떤 대안을 가지고 논의를 하려면, 숫자의 문제기 때문에 근거가 있어야 한다”며 “’이러이러해서 2000명이 아니’라고 (대안을) 가져오면 2000명에 매몰되지 않고 다시 추계해볼 수 있다는 유연한 입장”이라고 밝혔다.
지난 1일 대한의학회와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KAMC)가 여의정 협의체 불참을 선언한 데 대해서는 “일단 휴지기를 갖기로 했기 때문에 잠정적 중단”이라고 강조했다.
장 수석은 “주로 교수님들인데 상당 부분 소통이 이루어지고 공감대를 이루거나 서로 입장은 달랐지만 총론에서는 굉장히 이해를 한 부분이 많이 있다”며 협의체가 언제든지 재개될 수 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