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대통령, 18일 첫 '화상 국무회의' 주재

2014-03-17     김형섭 기자

박근혜 대통령이 오는 18일 오전 청와대에서 역대 정부에서 처음으로 원격화상회의 방식으로 국무회의를 주재한다.

청와대는 비서동인 위민1관 3층에 세종시와 연결된 영상국무회의실 공사를 최근 마무리했으며 보안을 위한 시범운영을 거쳐 이날부터 본격 가동할 예정이다.

영상국무회의실은 지난해 말 산업통상자원부 등 6개 부처 이전을 비롯해 정부 부처의 세종시 이전이 대부분 마무리됨에 따라 업무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차원에서 마련됐다.

현재도 국무총리 주재 국무회의는 서울과 세종시 간에 온라인 화상회의로 진행되고 있는데 이를 청와대까지 확장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앞으로는 기획재정부 등 세종시 소재 정부 부처 장관들이 서울에 올라오는 일 없이 서울 광화문 및 경기 과천에 위치한 부처 장관들과 함께 대통령 주재 국무회의를 진행할 수 있게 됐다.

앞서 박 대통령은 지난 2월11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일자리·복지분야 업무보고에서 정부 수립 이후 처음으로 서울-세종 간 화상회의 시스템을 활용한 업무보고를 받기도 했다.

박 대통령은 그동안 세종시의 행정 효율화 제고를 위해 화상회의의 필요성을 여러 차례 강조해 왔다.

지난해 5월 국무회의에서는 "세종시로 옮겨갈 때는 과학기술, 정보통신기술(ICT)의 뒷받침을 받는다는 것이 전제로 깔려 있다"며 "그것을 충분히 활용 못한다면 업무를 원활하게 수행하는 데 제약을 받을 수밖에 없다"고 말해 원격화상회의 등을 통해 기존 관행을 바꿀 것을 지시했다.

또 지난해 12월10일 국무회의에서는 "청와대도 원격회의가 가능한 시스템을 갖추고 있는데 앞으로 이를 적극 활용하겠다"고 예고했으며 같은 달 27일 세종시 이전부처 공무원들과 오찬을 함께 한 자리에서 "행정 효율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기존의 업무관행을 개선해서 스마트워크 시대에 맞는 디지털 행정문화를 조속히 정착시켜 나가야 한다"고 언급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