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신안군 주민 104명, 적대세력에 희생···진실규명 결정
신안군 남진 앞바다, 백산리 와우마을 일대서 희생 진실규명 신청 80명 외에도 직권조사로 24명 확인 국가에 '북한 정권의 사과 촉구, 공식 사과' 등 권고
전남 신안군에 거주하던 주민 100여 명이 적대세력에 의해 희생된 사건이 74년 만에 진실규명(피해자 인정) 결정됐다.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진실화해위원회)가 지난 24일 서울 중구 진실화해위원회에서 열린 제87차 위원회에서 '전남 신안군 적대세력에 의한 희생사건-자은면을 중심으로'에 대해 진실규명으로 결정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는 한국전쟁 발발 후인 1950년 9월부터 10월까지 전남 신안군 자은면에 거주하던 주민 104명이 경찰·공무원·우익인사와 그 가족, 경제적으로 부유하다는 이유 등으로 남진 앞바다, 백산리 와우마을 일대에서 적대세력에 희생된 사건이다.
진실화해위원회는 이번에 진실규명 신청된 사건 80명에 대한 제적등본, 족보, 학적부, 1기 진실화해위원회 기록, 판결문 등 관련 자료조사와 신청인 및 참고인 진술조사 등을 실시했다.
진실화해위원회는 직권조사도 실시했다. 그 결과, 진실규명 신청된 80명 외에도 직권조사 과정에서 24명의 희생사실이 추가로 파악돼 총 104명의 신원과 희생사실을 확인했다.
진실화해위원회에 따르면, 1950년 7월 24일 인민군이 목포를 점령했고 이후 자은면의 경찰은 부산으로 피난을 떠났다. 자은면의 좌익들은 인민위원회를 구성하고, 여성동맹 등의 단체를 조직해서 활동했다.
자은면에도 인민군이 들어온 것으로 추정되나, 관련 기록을 확인할 수 없었다. 9월 중순 이후에 좌익들은 마을 주민들을 창고에 구금한 뒤 남진 앞바다로 끌고 가 수장한 것으로 조사됐다.
진실화해위원회는 국가에 북한 정권의 사과 촉구, 희생자와 유가족에 대한 공식 사과, 피해회복과 추모사업 지원 등 후속 조치, 가족관계등록부 등 공적기록 정정, 평화·인권 교육 강화 등을 권고했다.
한편 진실화해위원회는 '한국전쟁 전후 적대세력에 의한 종교인 희생사건' 중 전남지역 기독교 희생사건에 대해서도 진실규명 결정을 내렸다. 진실화해위원회가 직권조사한 종교인 희생사건으로 전남 지역 기독교 사건 중에서는 두 번째 결정이다.
진실화해위원회는 전남 여수·구례·순천·무안·함평·곡성·진도·고흥 8개 지역에서 18개 교회의 기독교인 38명에 대해 진실규명을 결정했다. 해당 사건은 1950년 7월부터 12월까지 5개월여에 걸쳐 발생한 것으로 조사됐다.
1950년 7월 인민군 점령기부터 희생사건이 발생해 인민군 퇴각 시기인 같은 해 9월 말에 집중적으로 사건이 발생했으며, 12월까지 빨치산에 의한 희생사건이 계속된 것으로 나타났다.
희생자들은 기독교인으로서 우익활동을 했거나 친미세력 등으로 여겨져 희생됐으며, 이들의 가족이라는 이유로 희생되기도 했다. 진실화해위원회는 국가에 대해 북한 정권의 사과 촉구 등을 권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