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국내 엠폭스 환자 11명···8개국 검역관리지역 지정

질병청, 엠폭스 관리체계 점검 및 대응 강화 "모르는 사람과 불안전한 밀접 접촉 피해야"

2024-08-26     박두식 기자
▲ 지난해 7월 16일 인천국제공항 내 엠폭스감염 주의 안내문. /뉴시스

세계보건기구(WHO)가 국제 공중보건 위기 상황으로 선포한 '엠폭스'의 국내 환자가 올해 11명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당국은 검역관리지역을 지정하고 감시와 검사를 강화하는 등 대응에 나섰다.

26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국내 엠폭스 환자는 2022년 4명, 2023년 151명, 2024년엔 지난 23일 기준 11명이다. 2023년 정점에 도달한 후 감소해 현재는 소규모, 산발적 발생만 유지 중이다.

올해 확진자는 수도권, 20~40대 남성 중심으로 발생했으며 밀접한 접촉에 의해 주로 감염됐다. 엠폭스는 호흡기 감염병과는 달리 일상적 활동에서는 전파 가능성이 낮다.

최근 아프리카 지역에 변이 바이러스 등장을 고려해 질병청은 현재 운영 중인 엠폭스 관리체계를 점검하고 선제적으로 대비·대응을 강화했다.

르완다, 부룬디, 우간다, 에티오피아, 중앙아프리카공화국, 케냐, 콩고, 콩고민주공화국 등 8개국은 검역관리지역으로 지정하고, 의심환자가 지역사회로 유입될 경우 신속한 검사와 치료가 가능하도록 하는 등 관리 체계를 강화했다.

진단의 경우 기존에 구축된 엠폭스 진단검사체계로 전국 17개 시도 보건환경연구원에서 아프리카에서 유행하고 있는 변이 바이러스의 실험실 진단검사가 가능하다.

지영미 질병청장은 "해외 여행 시 모르는 사람과의 안전하지 않은 밀접 접촉을 피하고 설치류, 영장류 같은 야생동물과의 접촉 및 섭취를 삼가야 하며, 엠폭스 의심 증상이 있는 사람이 사용한 수건, 식기 등의 물품은 만지지 말고 손씻기 등 기본적인 개인위생수칙을 준수해 줄 것"을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