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경수 복권에 야권 “환영” 한다지만 친명계는 시큰둥
이재명 “복권 진심으로 환영…큰 역할 해달라” 친명계 일각 “이재명 체제 분열 노리나” 경계 김경수 “더 성찰하고 사회 보탬 역할 고민할 것”
드루킹 댓글 조작 사건으로 대법원에서 유죄 판결을 받았던 김경수 전 경남지사가 광복절을 맞아 복권됐다.
더불어민주당은 김 전 지사의 복권을 환영한다는 입장이다. 다만 친명(친이재명) 주류에서는 친노무현(친노)·친문재인(친문)계 적자로 불리는 김 전 지사의 복권이 야권 분란을 노린 것 아니냐는 의구심도 제기된다.
민주당 원내지도부 관계자는 13일 “김경수 전 지사 복권은 당연히 환영할 만한 일”이라며 “당 차원의 입장 표명이 있을 것이다”고 말했다.
연임이 확실시되는 이재명 전 대표도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김 전 지사의 복권을 당원들과 함께 진심으로 환영한다”며 “국민과 민주당을 위해 앞으로 더 큰 역할 해주시길 기대한다”고 적었다.
앞서 김경수 전 지사가 광복절 특별사면 복권 대상자 명단에 포함됐다는 소식이 알려지자 야권의 반응은 미묘하게 갈렸다. 비명계는 친문 핵심인 김 전 지사 복권에 일제히 환영의 뜻을 나타냈지만 친명계 일각에선 이재명 전 대표 체제를 흔들려는 의도가 있는 것 아니냐는 반응도 나왔다.
문재인 정부 출신 의원들은 김 전 지사의 당내 역할을 기대하는 분위기다.
문 정부에서 국가정보원장을 지낸 박지원 민주당 의원은 지난 9일 페이스북을 통해 “김 전 지사의 복권은 더 큰 민주당이 되는 기회이자 민주당 인적 자산에 큰 보탬이 될 것”이라며 “경쟁을 통해 지지받는 분이 대선후보가 되면 국민과 함께 완전한 정권교체를 이룰 수 있다”고 밝혔다.
‘이재명 일극 체제’를 비판해온 김두관 당 대표 후보는 “당의 다양성과 역동성을 살리고, 회복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민주당 내에서 다양한 대선 주자들이 경쟁하는 구도가 만들어져야 한다”고 했다.
반면 친명계에선 김 전 지사의 복권이 ‘이재명 체제’의 균열을 바라는 여권의 노림수라며 경계하는 기류도 읽힌다.
친명계 좌장 격인 정성호 의원은 지난 6일 라디오 인터뷰에서 “김 전 지사가 억울한 면이 있어 복권해 줘야 한다고 생각하지만, 여당에선 이를 야권 분열용으로 시기에 맞춰서 쓸 것”이라고 주장한 바 있다.
최고위원을 지낸 장경태 의원은 “복권 노력은 필요하지만 민주당 전당대회 과정에 복권을 하는 건 떨떠름하기는 하다”고 말했다.
이러한 온도 차에 당 지도부는 김 전 지사 복권을 여권에 요청했다는 사실을 거듭 밝히며 당내 분열론을 잠재우는 데 주력했다.
특히 이 전 대표가 오히려 비명계 구심점이 될 수 있는 김 전 지사 복권에 적극적이었다고 강조하며 이재명 2기 체제의 안정적인 당 운영에 힘을 쏟는 기류다.
다만 당내 분열의 불씨는 남아 있다. 이 전 대표 사법 리스크가 현실로 다가올 경우 당내 역학관계가 요동칠 수 있다는 게 정치권의 대체적인 견해다. 김 전 지사는 이번 복권으로 2027년 대선 출마 길이 열리게 된다.
한 친문계 의원은 “김 전 지사가 당장 정치 행보를 재개하기는 어렵겠지만 귀국 후 내년에는 자연스럽게 자신의 입장을 밝히지 않겠느냐”며 “차기 대선 출마 가능성은 열려 있다고 본다”고 언급했다.
김 전 지사는 현재 독일 에버트재단 초청으로 베를린에서 6개월 일정의 연구활동을 하고 있다. 올해 11월 말이나 12월 초 귀국할 예정이다.
그는 이날 페이스북에 “우리 사회를 위해 보탬이 될 수 있는 역할이 무엇인지 잘 고민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어 “많은 분께 심려 끼쳐 드려 다시 한번 진심으로 송구하다는 말씀을 드린다”며 “걸어온 길을 돌아보고, 더 성찰하는 시간을 보내겠다. 복권을 반대했던 분들의 비판에 담긴 뜻도 잘 헤아리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