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검, 김여사 조사 경위 진상파악 속도조절···갈등 최소화
진상파악, 수사 영향 없는 선에서 진행키로
김건희 여사 조사와 관련해 진상파악을 진행 중인 대검찰청 감찰부가 '명품백 수사에 지장을 주지 않는 범위에서 진상파악을 진행하겠다'는 의사를 밝힌 것으로 파악됐다.
24일 법조계에 따르면 대검 감찰부는 중앙지검에 이 같은 입장을 전달했다. 전날 이창수 중앙지검장이 '진상파악을 연기해 달라'고 요청한 사안을 사실상 받아들인 것으로 해석된다.
앞서 이원석 검찰총장은 서울중앙지검 수사팀이 사전 보고 없이 지난 20일 김 여사를 방문 조사한 데 대해 이 지검장으로부터 경위를 보고받고 대검 감찰부에도 진상 파악 지시를 내렸다.
이에 이 지검장은 진상 파악을 연기해 달라고 요청한 바 있다. 현재 수사팀이 많이 힘들어하고 있고, 수사가 진행 중인 상황에서 진상 파악을 진행할 경우 수사팀이 동요해 수사에도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는 이유였다.
감찰부의 속도조절은 '검-검 갈등'이 이어지는 것으로 비치는 현재 상황을 우려한 결정으로 보인다. 더불어민주당 등 야권을 중심으로 검찰개혁에 대한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검찰 간 내부갈등이 격화할 경우 조직에까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판단한 게 아니냐는 해석이다.
대검 관계자는 "감찰부에서 중앙지검 수사에 지장을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차분하게 진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른바 '검찰총장 패싱' 논란은 중앙지검이 지난 20일 김 여사 조사가 시작된 지 10시간 만에 대검찰청에 보고하면서 시작됐다.
중앙지검은 이 총장이 지휘 배제된 도이치모터스 주가 조작 의혹 조사 보고는 할 수 없고, 명품백 수수 의혹의 경우 안정적으로 조사가 진행되는 시점에 보고가 이뤄졌다고 해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