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최고위 이어 시도당위원장도 친명 장악…서울시당 단일화 전망도
텃밭 광주선 '양부남 vs 강위원' 친명계 인사 맞대결 구도 부산·충청·영남 등 "이재명과 함께 정권교체" 출사표 잇따라
더불어민주당이 전당대회준비위원회를 띄우며 새 지도부를 선출하기 위한 전당대회 체제에 돌입한 가운데 최고위원에 이어 시도당위원장 선거에도 친명(친이재명)계가 대거 출사표를 던지는 양상이다. 일부 지역에서는 당내 교통 정리가 이뤄져 사실상 단일화 수순을 밟을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민주당 텃밭인 광주시당은 친명계 현역 의원과 원외 인사의 맞대결 구도가 완성됐다. 민주당 법률위원장을 맡으며 이재명 대표의 호위무사로 불린 양부남 의원과 당내 친명계 최대 계파로 꼽히는 더민주전국혁신회의를 이끌고 있는 강위원 상임대표의 양자 대결로 치러진다.
전남도당은 재선의 김원이 의원과 주철현 의원 간 양자구도가 형성되고 있고, 전북도당은 이원택 의원을 비롯해 신영대, 윤준병 의원이 후보군으로 거론되고 있다. 관례에 따라 경선이 아닌 합의 추대 가능성도 있다.
다음 달께 예정된 부산시당 위원장 선출도 친명 경쟁으로 흐를 조짐이다. 이재성 사하을 지역위원장과 최택용 기장군 지역위원장(중앙당 대변인), 최인호 사하갑 지역위원장, 변성완 강서 지역위원장 등 다자간 대결이 예상되는 가운데 이들은 모두 “이재명과 함께 승리하는 부산 민주당을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수도권의 경우 서울시당 위원장에 친명계 장경태 최고위원, 경기도당 위원장엔 김승원·문정복·강득구·민병덕 의원이, 인천시당 위원장엔 정일영·맹성규 의원 등이 출마 시기를 저울질하고 있다.
특히 서울시당은 친명계 지도부인 장 의원이 친명 주류의 전폭적인 지지를 받으며 단독 입후보 가능성까지 거론된다. 출마를 검토 중이던 김영배·오기형 의원은 장고에 들어갔다.
이밖에 친명으로 분류되는 이광희 충북도당·이영수 경북도당·허소 대구시당·송순호 경남도당 위원장 출마 예정자는 최근 합동 기자회견을 열고 ‘이재명과 함께 정권교체’ 등을 기치로 내걸었다. 대다수는 강성 친명계 모임인 더민주혁신회의 소속이다.
당 안팎에선 당 지도부에 이어 시도당 위원장도 친명계가 장악할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 후보군 자체가 친명계가 많은 데다, 선출 방식도 친명계에 유리하게 바뀌었기 때문이다. 2년 임기의 시도당 위원장은 당의 지역 조직을 관리하고 2026년 지방선거에서 지방의원 공천권도 행사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