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차기 당권, 지도체제 변화 요구·민심 반영 비율 ‘변수’

당헌당규개정특위서 논의 이어갈 듯

2024-06-06     이광수 기자
▲ 발언하는 황우여 비대위원장. /뉴시스

국민의힘 차기 당대표 선거는 황우여 비상대책위원장이 던진 지도체제 변화 요구와 민심 반영 비율이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6일 정치권에 따르면 국민의힘 당헌당규개정특별위원회는 오는 7일 지도체제 등에 관한 논의를 이어갈 예정이다. 현재 특위에서 논의 중인 안은 크게 3가지로 현행 단일지도체제, 3인 이상 집단지도체제, 절충형(하이드리드형) 2인 지도체제 등이다.

현행 단일 체제에서는 당대표와 최고위원 경선을 따로 진행하게 된다. 집단 체제는 통합 경선을 진행해 최다 득표자가 당대표를 맡고, 2·3위가 최고위원으로 지도부에 합류하는 방식이다.

황 위원장이 제안한 절충형 2인 체제는 최다 득표자를 당대표를 두되, 2위를 수석최고위원으로 임명해 지도부를 ‘투톱’으로 운영하자는 안이다.

황 위원장은 얼마 전 한 방송 인터뷰에서 “단일지도체제로 하다 보니 대표가 문제가 되면 그대로 전당대회 준비에 들어가고 2년에 대표가 6번 바뀐 정당이 돼 버렸다”며 “대통령과 부통령이 있듯이 대통령 유보 시에는 승계할 수 있는 한 번의 기회는 있어야 되지 않느냐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당내에서는 이 절충안이 유력 당권주자로 꼽히는 한동훈 전 비상대책위원장을 견제하기 위한 장치라는 시각도 존재한다. 또 단일지도체제로 전당대회를 치를 경우 한 전 위원장 대세론에 다른 후보들이 밀려 흥행에 실패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나아가 한 전 위원장이 출마를 결심할 경우 당선이 유력하기 때문에 당내 주류인 친윤(친윤석열)계에서 미리 권력구조 개편에 나선 것이라는 의견도 있다. 다만 친윤 인사들은 이러한 주장에는 철저히 선을 긋고 있다.

비대위 내에서는 지도체제 논의 자체를 다음 지도부로 넘겨야 한다는 의견도 있었다고 한다. 전당대회 개최 시기를 다음 달 말로 잡아뒀는데, 지도체제까지 논의하기에는 시간이 부족하다는 이유에서다.

전당대회 경선 방식과 관련해서는 20~30%의 민심을 반영하는 것으로 의견을 모아가는 기류다. 당권주자들은 대체로 민심 반영에 크게 개의치 않는 분위기다. 야권 성향 지지층의 표심과 관련된 역선택 방지 조항에 대해서만 다른 의견이 나올 뿐이다.

반면 일부 영남권 의원과 친윤계에서는 민심보다 당심에 무게를 두는 것을 선호하는 기류가 읽힌다. 다만 아직까지는 친윤계 당권주자가 누구인지는 명확하지 않은 상황이다. 전당대회 룰 세팅과 지도체제 정비를 마친 이후에나 친윤계 후보가 윤곽을 드러낼 것이라는 관측도 제기된다.

현재 당내에서는 한 전 위원장과 나경원·윤상현·안철수 의원, 유승민 전 의원 등을 후보군으로 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