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말 전대에 與 당권주자들 경쟁 본격화

전대룰 매듭 지으면 당권 레이스 시작될 듯

2024-06-04     이광수 기자
▲ 한동훈-안철수-나경원. /뉴시스

국민의힘이 다음 달 25일 전당대회를 열기로 잠정 결정한 가운데 당대표 경선 방식 등을 바꾸는 당헌·당규 개정 작업에도 속도가 붙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간 몸을 풀던 당권주자들의 행보도 본격화될 전망이다.

4일 국민의힘에 따르면 당 당헌당규개정특별위원회는 오는 12일까지 전당대회룰과 지도체제, 당권·대권 분리 규정 완화, 결선투표제, 역선택 방지 조항 등에 대한 결론을 내기로 했다.

구체적으로 현재 전당대회 룰은 당심(당원투표) 100%인데, 이를 줄이고 민심(국민여론조사)를 반영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현재 지도부는 기존 당원투표 100%를 비롯해 당심과 민심을 각각 8 대 2, 7 대 3, 5 대 5로 반영하는 4가지 안을 두고 원내 의견을 모으는 중이다.

지도체제의 경우 당대표와 최고위원 경선을 따로 진행하는 현행 단일 체제 유지에 무게가 실리는 분위기다.

앞서 황우여 비상대책위원장이 ‘절충형 지도체제’를 띄우면서 집단 체제의 필요성이 한때 제기되기도 했다. 통합 경선을 진행해 최다 득표자가 당대표를 맡고, 2·3위가 최고위원으로 지도부에 합류하는 방식이다.

당권·대권 분리 규정도 바뀔 수 있다. 현재 당헌에는 당대표가 대권에 도전하려면 대선 1년 6개월 전에 대표직에서 물러나야 한다고 명시돼 있다. 이러면 이번에 뽑힌 당대표가 대권주자로 나설 경우 내년 9월까지 1년여 밖에 자리를 지키지 못한다.

당권주자들은 이와 관련된 논의들이 매듭지어진 이후에 본격적으로 레이스에 뛰어들겠다는 분위기다. 현재 당내에서는 한동훈 전 비상대책위원장과 나경원·윤상현·안철수 의원, 유승민 전 의원 등을 후보군으로 보고 있다.

유 전 의원의 경우 공개적으로 역선택 방지 조항을 개선해야 한다고 말한다. 이 조항을 빼면 야권 성향의 유권자로부터 지지를 받고 있는 유 전 의원에게 유리할 수 있다는 시각도 존재한다.

가장 적극적인 행보를 보이는 후보는 윤 의원이다. 전날에는 ‘김정숙 여사 특검법’을 발의하면서 존재감을 과시했고, 5일에는 광주에서 8번째 보수혁신 세미나를 진행할 예정이다. 당분간 세미나를 이어가면서 당 안팎 현안에 목소리를 낼 것으로 예상된다.

나 의원과 안 의원은 비교적 조심스러운 모습이지만 출마 가능성에는 완전히 선을 긋지는 않고 있다. 한 전 위원장의 출마 여부가 이들의 행보에 변수로 작용할 수도 있다. 각종 여론조사에서 가장 높은 지지율을 기록하고 있는 만큼 한 전 위원장이 출마를 결정하면 대세론이 형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앞서 한 전 위원장은 지구당 부활론을 펴면서 원외 당협위원장들로부터 지지를 받은 바 있다. 이를 두고 전당대회 출마로 마음이 기운 것 아니냐는 해석이 붙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