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혁신도시 高분양가에 내집마련 물거품 ?

2011-12-08     유진휘 전북본부 기자

 
 

전북 전주에는 지금 아파트 분양 강풍이 몰아치고 있다. 하지만 높은 분양가 때문에 '내 집 마련'을 꿈꾸던 서민들에게 분양은 말 그대로 이루어질 수 없는 '꿈'에 그칠 가능성이 커졌다.

지금 전북혁신도시에선 보금자리주택 성격을 띤 민간아파트가 분양 신청자를 모집하고 있다. 내 집 마련을 계획하며 가슴을 두근거리던 서민들에게 1900여 세대의 새로운 안식처가 생겨난다는 말이다.

그런데 기대가 큰 만큼 실망도 크다는 말이 딱 맞아떨어지는 현상이 벌어지고 있다. 혁신도시 민간아파트 분양을 앞두고 한껏 부풀었던 서민들의 마음이 한순간에 무너져 내리고 있기 때문이다.

문제는 고분양가다. 최근 혁신도시내에 건설 붐이 일면서 이달에만 3개 건설사가 공식적인 분양에 들어간다. 분양가는 평당 653만원에서 665만원까지 이르고 있다. 국토해양부가 정한 분양가 상한제에 약간(?) 못미치는 수준이다.

이를 두고 학계와 정계, 시민들은 최근 열린 공청회에서 전주권 아파트 분양가의 거품을 문제 삼았다. 일부 시의원은 한 건설사의 분양가를 토대로 계산할 경우 210억원을 웃도는 수익이 남는다며 지나치게 높게 형성된 분양가를 강도높게 비판했다.

또 건설사는 공식적인 수익 외에도 일부 직접 공사비 산정 과정에서 100억원의 수익이 남는다는 의혹도 제기했다.

전주는 2001년 이후 10년 동안 평당 아파트 가격이 2배나 급등했다. 2001년 당시 평당 500만원이었다면 지금은 평당 1000만원을 호가한다는 이야기이다.

하루를 일 년같이 일을 해도 내 집 마련은 커녕, 자녀 보육조차 버거운 서민들로선 넋이 빠지고 허탈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법으로 규정된 상한가 이내에서 사기업이 알아서 정한 분양가를 전주시와 시의회가 나서서 비판하고 억누를 경우 시장경제 원칙에 찬물을 끼얹는다는 눈총을 받을 수 있다.

하지만 서민들이 학수고대해 온 '내 집 마련의 꿈'이 일장춘몽에 그치지 않고 현실이 될 수 있도록 공적영역이 나서서 기업을 설득하는 노력은 필요하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기업이 먼저 부풀려진 분양가를 재고하는 적극적인 상생의지를 보여주는 게 필요한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