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의회 김경 의원 "서울교통공사 재정 적자 해결책으로 ‘UAM 상용화’ 시기상조"

새로운 교통수단으로 드론과 플라잉 택시 운행은 안전성이 부족함을 지적

2023-05-18     류효나 기자
▲ 청문회 모습.

서울특별시의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김경 의원(더불어민주당, 강서1)은 17일 서울시의회 교통위원회 회의실에서 열린 '서울특별시 서울교통공사사장 후보자 인사청문회'(이하 “특별위원회”)에서 서울교통공사 재정 적자에 대한 대안으로 ‘안정성이 보장되는 기술이 개발되어야 할 것’을 지적했다.

백호 후보자는 서울교통공사 재정 적자에 대한 해결책으로 UAM(Urban Air Mobility) 인 드론과 플라잉 택시 운행을 위한 전용항로와 이착륙 터미널, 종합관제 등 필요한 제도적 기틀을 마련했으며, 추가적 계획 중에 있다고 말했다.

UAM(Urban Air Mobility)은 도시 공간에서의 공중 이동수단을 도입하여 지상 교통수단을 보완, 대체하여 주로 전기식 수직 이착륙(VTOL) 비행기나 드론 형태의 항공기가 있다.

이에 김경 의원은 서울교통공사의 재정 적자에 따른 ‘재정 보안의 한계성’을 지적하며, 단순히 물건을 수송하는 게 아닌 사람을 태워 교통수단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안전성의 검증 및 비용효과성 측면에서 ‘UAM의 상용화는 신중해야 할 것’임을 강조했다.

안정성 문제에 대해서도 김의원은 한국항행학회논문지(2022.10)에 ‘UAM 추락 시 인구 밀접 지역 지상 인명피해 분석’에 근거해 추락 시 노출 영역의 크기 분석과 사망률에 관한 연구결과를 제시하며 시기상조임을 강조했다.

아직 전세계적으로 UAM 상용화된 국가는 없다. KAIA-NRF(’21.6.)에 따르면 우리나라 UAM 관련 기술수준은 전 세계적으로 최고기술국 대비 기술 수준이 59.2%, 기술격차로는 3.6년으로, 기술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편, 김경 의원은 교통수단 활용에 대해 교통체증의 문제를 효율적으로 해결하는 방안을 제안하며, CST(Cargo Sous Terrain)을 도입을 건의했다.

CST는 지하 화물 운송 시스템으로 지하 터널 네트워크를 통해 물류 및 화물을 자동화된 방식으로 운송하며, 지하 철도 형태를 가지고 있는 시스템이다.

CST 프로젝트는 스위스 주요 도시와 물류센터간에 화물을 운반할 수 있는 지하 물류 터널을 건설해 화물을 실은 물류 로봇들이 시속 30km의 속도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구상이다.

이 프로젝트를 제안한 스위스 CST는 물류 수요가 엄청나게 늘어나고 있는 상황에선 기존의 철도망이나 트럭 운송망 확장을 통한 물류 시스템 구축은 머지않아 한계에 봉착할 것으로 보고 지하에 물류 터널을 구축하자는데 기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