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포구, 서울시 자치구 중 ‘미술작품 공모대행제’ 도입 ‘유일’
“건물 확 살리는 미술품을 공모합니다.”
#1 . 오피스와 고층 아파트 등 콘크리트로 둘러싸인 공덕동 KPX 빌딩에 설치된 작품 ‘하이드(hide)’는 어딘가를 향해 걷고 있는 남자의 형체가 지지직 대는 고장난 TV화면처럼 표현된 작품이다. 채워져 있으나 비워진 형상의 이 남자는 동시대를 살아가는 현대인들의 공허한 모습을 반영하고 있다.
#2. 서울 서부의 도시 중 빠른 속도로 변화, 발전 중인 성산동의 상암 월드시티 오피스텔 앞에 설치될 ‘어릴 적 추억’이라는 작품은 예술작품이면서 동시에 주민들이 잠시 쉬어가는 공간(벤치)으로도 활용될 예정이다. 한가한 오후의 가족 모습을 표현한 이 작품은 바쁘게 살아가느라 어릴 적 추억을 잊고 사는 도시민들에게 용기와 힘을 주는 가족들의 품으로 빠져들게 한다.
‘미술작품 공모대행제’는 구청장이 미술작품 공모를 대행해 주는 제도로, 마포구는 지난 2011년 서울시 자치구 중 처음으로 이 제도를 도입해, 건축물 건축 시 발생하는 미술작품 설치와 관련된 금품 수수 등 계약관련 비리를 차단하고, 공개경쟁을 통한 우수작품 선정에 앞장서 왔다.
‘문화예술진흥법 제9조’에 따라 연면적 1만㎡이상 건축물을 건축할 때 의무적으로 건축비용의 일정 비율에 해당하는 금액의 조각·회화 등의 미술작품을 설치하여야 한다.
구 관계자는 “건축주가 작가와 작품을 임의로 선정해 저가의 수준 낮은 작품을 설치하거나, 선정과정에 전문브로커가 개입하는 등 관련 비리가 잦았다.”며 “공모대행제 도입으로 건축물 허가권자인 구청장이 미술작품을 공개모집함으로써 시민들에게 삭막한 도시공간에서 미술작품을 감상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도시문화 환경개선에 도움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 공모대행제의 절차는 건축물 건축 시, 건축주가 마포구청장에게 공모신청을하면, 마포구에서 20일 이상 공모를 진행, 마포구 미술작품선정심사위원회에서 미술작품을 선정한다.
마포구 공모 결과 최종 선정작은 서울시 미술작품 심의를 받지 않아도 되므로, 미술작품 설치 기간이 단축되는 장점이 있다. 지난해까지는 마포구에서 선정된 최종작품에 대해 서울시의 심의를 거쳐야 했었다.
2011년 이 제도 도입 이후 총 5회의 공모제가 개최됐으며, 이를 통해 ▲공덕동 KPX 빌딩의 HIDE· 원의 변주, ▲신공덕동 월드마포빌딩의 소망의 빛·자연 그대로 비추다-선인장, ▲합정동 메세나폴리스빌딩의 만개·heart·영원, ▲성산동 위브센티움 빌딩의 출근길이 설치되었으며, ▲ 2013년 12월에 선정된 성산동 상암월드시티 빌딩 ‘어릴적 추억’은 올 상반기에 설치 예정이다.
2014년 벽두부터 마포구에서는 미술작품 공모대행제 신청이 봇물을 이루고 있다. 이달에 미술작품 공개모집에 들어간 건축물은 ▲마포구 상수동 래미안 밤섬리베뉴1(상수동 160번지 일대 상수제1구역), ▲아현동 아현 래미안푸르지오(아현동 635번지 일대 아현제3구역 택지 1,2), ▲아현동 아현 래미안푸르지오(아현동 635번지 일대 아현제3구역 택지 3,4) 등 총 3건이다.
‘래미안 밤섬리베뉴1’의 공모 작품은 아파트 단지 경계부위 고저차로 인한 높은 옹벽의 미관을 개선하고 단지의 가치를 높일 수 있는 부조작품 1점(미술작품 금액 92,403천원 상당)이다. 참여를 원하는 작가는 2월 18일(화), 작품도판·작품설명서, 작가경력서 등 제출도서를 구비하여 마포구청 도시경관과로 방문접수하면 된다. 단, 응모를 원하는 작가는 1월 21일(화), 오전 10시 개최되는 현장설명회에 반드시 참석해야만 응모가 가능하다.
‘아현 래미안푸르지오(택지3,4)’와 ‘아현 래미안푸르지오(택지1,2)’는 조각작품, 총 8점을 공개모집한다. 아현 래미안푸르지오(택지 3,4)의 미술작품은 조각 4점, 미술작품 금액 총 439,596천원 상당이며, 참여를 원하는 작가는 2월 7일까지 마포구청 도시경관과로 직접 방문접수하면 된다.
아현 래미안푸르지오(택지 1,2)는 조각 4점, 미술작품 금액 총 312,508천원 상당)이다. 응모 및 작품제출은 2월 11일까지 마포구청 도시경관과로 직접 방문접수하면 된다.
자세한 사항은 마포구청 홈페이지(www.mapo.go.kr) 도시경관과 부서자료실을 참고하거나 마포구청 도시경관과(☎3153-9465)로 문의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