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일정협의시 금강산 관광 논의 가능"…北 이산상봉 수용 촉구
정부가 10일 북측을 상대로 우리 측의 설맞이 이산가족 상봉 요청에 응할 것을 거듭 촉구하면서 금강산 관광 재개 논의 문제도 추후 협상 테이블에 올릴 수 있다는 입장을 밝혀 관심이 모아진다.
김의도 통일부 대변인은 이날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정례 브리핑을 갖고 “우리 측의 이산가족 상봉 재개 제의에 성의 있는 자세를 보일 것을 다시 한 번 촉구하는 바”라고 밝혔다.
그는 “북한 측이 남북관계 개선을 바란다면 말로만 인도주의 사업을 주장할 것이 아니다”며 “이산가족들이 민족의 최대 명절인 설을 맞아 더 늦기 전에 헤어진 가족들을 만날 수 있도록 해드리는 것이 도리”라고 지적했다.
아울러 “이산가족 상봉은 고령 이산가족들의 아픔을 치유하는 길일뿐만 아니라 남북관계 개선에 새로운 계기를 위한 첫 걸음이 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이어 이산상봉과 금강산 관광 연계 문제와 관련 “관광 재개를 위해 진상규명, 우리 국민의 신변안전문제 등이 해결돼야 한다는 그런 입장에 변화가 없다는 말씀을 다시 한 번 드린다”고 기존의 입장을 재확인했다.
다만, “남북 간에 일정이 협의가 되면, 금강산 관광 관련한 그런 게 구체적으로 제의가 되고 일정이 협의되면 관광문제도 다시 논의가 가능하다고 생각한다”며 회담 재개 가능성을 열어놓았다.
김 대변인의 이러한 언급은 이산 상봉은 인도적 차원의 문제로 금강산 관광과 연계할 사안은 아니지만, 양측이 합의할 경우 금강산 관광 문제를 추후 '협상 테이블'에 올려 관광 재개 조건을 협의할 수 있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정부는 지난 2008년 금강산에서 발발한 박왕자씨 피격 사건 이후 ▲북측의 사과 ▲진상 규명 ▲책임자 처벌 등 금강산 관광 재개를 위한 몇가지 조건을 제시해 왔는데, 이 문제를 북측과 협의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금강산 관광 재개와 관련, 원론적 입장을 다시 피력한 것으로도 풀이되지만, 박 대통령의 설맞이 이산가족 상봉 제안과 "통일은 대박" 발언 이후 조금씩 달라지고 있는 우리 정부내 대북 기류 변화도 읽힌다.
그는 이밖에 '박 대통령이 신년사에서 이산가족 상봉 제안을 할 것을 알고 있었는가'는 질문에 대해서는 "신년 기자회견에서 남북관계 관련 부분은 우리 통일부하고 긴밀히 협의를 해서 내용이 들어간 것으로 알고 있다"고 답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