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노동부 장관 “정확히 주 69시간 아닌 주 평균 52시간” 확인
국회 환노위 전체회의 출석…민주당 의원들 질의에 답변 민주당 ‘엇박자’ 질타도…이정식 “대통령 말씀 파악할 것”
이정식 고용노동부 장관은 21일 ‘주 최대 69시간’으로 논란이 지속되고 있는 근로시간 제도 개편안에 대해 “정확한 표현은 주69시간이 아니고 ‘주 평균 52시간’이 맞다”고 밝혔다.
이 장관은 이날 오전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해 ‘(개편안이) 대통령 한 마디에 바뀌고, 대통령실이 바꾸고 이건 납득할 수 없다. 우왕좌왕하는 게 정부가 할 일이냐’는 우원식 더불어민주당 의원 질의에 이같이 답했다.
앞서 정부가 발표한 개편안이 논란이 일자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 14일 재검토를 지시한 데 이어 16일에는 “주60시간 이상은 무리”라며 상한 보완을 지시했다. 이를 두고 윤 대통령이 가이드라인을 제시한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왔다.
그러나 전날 대통령실은 “가이드라인은 아니다. 60시간이 아니고 더 이상 나올 수도 있다”고 밝혔는데, 이날 윤 대통령이 “주60시간 이상 근무는 건강보호 차원에서 무리”라며 생각의 변함이 없음을 밝히면서 혼란은 더욱 가중되고 있다.
이에 대해 이 장관은 일단 “주69시간은 극단적 경우 가능하다”면서도 ‘주 평균 52시간’을 부각시켰다.
이는 1주 12시간인 현행 연장근로 관리 단위를 노사 합의 시 ‘월·분기·반기·연’ 단위로 확대하는 경우 연장근로 총량은 월 52시간(12시간×4.345주)으로, 주 평균으로 따지면 법정근로시간 40시간에 연장근로 12시간임을 강조한 것으로 보인다.
이 장관은 전날에도 “주 단위로 묶인 연장근로를 풀어 선택지를 넓히고 최대 주 평균 48.5시간으로 줄여 실 근로시간을 단축하는 내용”이라고 강조한 바 있다. 연 단위 시 법정근로시간 40시간에 주 평균 8.5시간을 더한 것이다.
이 장관은 ‘국민의힘은 주69시간이 가짜뉴스라고 하는데, 누가 말한 것이냐’는 전용기 민주당 의원 질의에는 “그것은 언론에서 그렇게 한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전 의원이 ‘주69시간이 될 수도 있다는 의미 아니냐’고 묻자 이 장관은 “극단적 의미에서 그럴 수 있다는 것”이라면서도 “정확하게는 주 평균 12시간이 잔업(연장근로) 시간이라는 것”이라고 재차 밝혔다.
이날 환노위에서는 민주당 의원들이 대통령과 대통령실, 정부 간 ‘엇박자’를 강하게 질타하기도 했다.
이 장관은 ‘정책이 뒤죽박죽 혼선을 계속하고 있다’는 진성준 민주당 의원의 비판에 “대통령께서는 늘 생명, 건강, 안전을 챙기라고 하는데, 주60시간은 현실적으로 계속 일하게 되면 무리 아니냐는 그런 말씀이신 것 같다”고 했다.
그러면서 “그 부분에 관해 말씀을 주셨기 때문에 입법예고 기간에 충분히 가능한 모든 대안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또 “제도 개편의 취지가 충분히 전달되지 않은 데 대해서는 대단히 송구하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 장관은 다만 향후 개편안 방향에 대해서는 모호하게 답하거나 말을 아꼈다.
그는 ‘처음 발표한 것을 다시 검토하는 것이냐’는 진 의원 질의에 “모든 가능성을 다 열어놓고 검토하고 있다”고 밝힌 데 이어 ‘69시간은 백지화된 것이냐’는 재질의에는 “선택권을 확대한다는 취지는 변함이 없다”고 말했다.
‘주69시간으로 하는 것과 관련해 지금도 생각에 변함이 없느냐’는 노웅래 민주당 의원 질의에는 “주 상한을 주 평균 12시간으로 한다는 데에는 변함이 없다”고 강조했다.
민주당 소속인 전해철 환노위원장은 ‘주60시간 이상으로 근로시간 개편을 할 것이냐’고 묻기도 했다. 대통령이 주60시간 상한을 재차 강조한 상황에서 고용부가 주60시간 이상으로 정부안을 만들 수 있겠냐는 얘기다.
이에 대해 이 장관은 “오늘 대통령께서 하신 말씀에 대해서는 내용을 정확히 파악해봐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