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훈 서울시장, 삼표부지·성수일대 한강변 글로벌 미래업무지구로 만든다
수변 복합단지 아일랜드 더블린 ‘그랜드 캐널독 지구’ 방문
오세훈 시장은 16일 11시 30분(현지시간) 수변중심의 복합단지로 유럽의 실리콘밸리로 불리는 아일랜드 더블린 ‘그랜드 캐널독 지구(Grand Canal Dock)’를 방문한 자리에서 삼표부지와 성수 일대를 서울의 한강변에 글로벌 미래 업무지구로 조성하겠다는 구상을 밝혔다.
‘그랜드 캐널독 지구(Grand Canal Dock)’는 더블린 도크랜드에 위치한 업무‧주거‧상업‧문화가 복합된 글로벌 IT산업 중심의 업무단지로 수변을 따라 창의적인 디자인의 건축물 및 문화시설 등이 위치하여 세계적인 수변 문화복합도시로 각광받고 있다.
그랜드 캐널독 지구는 과거의 가스시설부지를 재개발한 사례로 전폭적인 규제 완화와 공공- 민간 협력을 통해 조성되었고, 특히 구글, 애플, 메타, 링크드인 등 글로벌 IT기업들이 위치하여 ‘실리콘 독’이라는 별칭을 갖고 있다.
이날 오세훈 시장은 극장의 커튼을 형상화한 외관을 지닌 무대 컨셉으로 건축된 ‘도크랜드 대운하 극장’과 곡선 형태의 유리벽 외곽이 돋보이는 ‘도크랜드 컨벤션 센터’를 찾아, 독특한 디자인의 건축물과 주변 공원 등 도심 속 수변공간들이 조화를 이루게 한 더블린시의 수변도시 명소화 정책을 관심있게 시찰했다.
이와 관련해 서울시는 2009년 GBC 계획과 지난 10년간의 변화를 담아 성수 일대를 ‘글로벌 미래업무지구’ 조성을 통한 새로운 한강변 랜드마크를 조성하겠다는 계획이다.
삼표부지는 2009년 현대GBC 건립을 통해 한강변 랜드마크 조성을 추진했으나, 한강변 높이 규제 등으로 무산됐고, 이후 2022년 서울시의 새로운 비전제시(강제철거→부지활용)로 성수 레미콘공장을 자진 철거하게 되면서 시민들의 오랜 숙원사업에 청신호가 켜졌다.
현재 상위계획인 2040 도시기본계획에서는 서울의 미래성장을 이끄는 청년첨단혁신축에 위치한 성수동을 수서~창동까지 연결되는 경제혁신축의 새로운 중심으로서 성수 일대 준공업지역과 연계하여 ICT 산업 특화거점으로 육성토록 발전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이에 서울시는 한강·중랑천·서울숲·응봉산 등 우수한 자원과 함께 다수의 국내 유망기업들의 입주, 청년층의 핫플레이스로 성수 지역 일대가 변모하고 있으며, 살고 싶은 곳, 일하고 싶은 곳, 놀고 싶은 곳으로 각광 받고 있는만큼 시대적 변화를 반영해 성수 일대의 산업 및 도시공간에 대한 재구조화가 필요하다는 판단이다.
서울시는 성수 일대를 성수 준공업지역 및 IT 산업개발진흥지구(신산업) 성수전략정비구역(주거) 등 성수 지역의 기능적 연계를 통해 미래형 첨단산업(TAMI) 기반의 미래 성장을 견인하는 신산업 성장 거점, 도시·자연·첨단산업·문화가 어우러진 미래선도 수변복합도시로 조성하는 한편, 삼표 부지는 TAMI 산업 허브로 조성하여 ‘미래산업의 신(新)성장 거점’의 촉매제 역할을 유도할 계획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 삼표부지는 최근 발표한 도시건축디자인 혁신방안 중 ‘건축혁신형 사전협상’으로 추진할 계획이며, 이는 서울시 최초 사례로서 현재 민관이 협력하여 국제설계공모를 위한 가이드라인을 마련 중이다.
건축혁신형 사전협상은 ‘도시건축 디자인 혁신방안’ 중 하나로 유연한 제도 적용, 다기능 용도 복합화, 국제 현상설계 공모 등을 통한 혁신적 디자인의 건축물을 도입하는 신규제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