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정릉·영천·신창·신원·길동' 거점시장으로 키운다
서울시, 전통시장 활성화대책 발표 시장에 'T머니형 결제카드' 도입 추진
서울시가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해 결제시스템에 'T머니형 신용카드'를 도입하기로 검토하는 등 세부적인 종합대책을 마련했다.
서울시는 5개 시장을 권역별 선도시장으로 선정하고 2016년까지 '서울형 신시장'으로 육성하는 내용의 전통시장 활성화 종합대책 '시장-다시살림-프로젝트'를 마련했다고 19일 밝혔다.
시는 이번 종합대책을 정릉(도심권)·영천(서북권)·신창(동북권)·신원(서남권)·길동(동남권) 등 5개 선도시장에 3년간 집중 적용한 뒤 2020년까지 서울시내 주요 골목시장을 서울형 신시장으로 탈바꿈해 나갈 예정이다.
우선 시는 현금결제에 머물러 있는 현재의 시장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교통정책에서 성공을 거둔 T머니형 신용카드를 결제시스템에 도입하는 내용을 검토하기로 했다. 전통시장의 고질적 문제로 꼽혔던 '불친절·불결·불신'을 없애기 위해 가격 및 원산지 표시제 정착 등도 실시한다.
이와 함께 경영·마케팅·문화기획 등 다양한 분야의 전통시장 매니저를 올해 14명에서 내년에 64명까지 늘려 투입하기로 했다.
또 협동조합과 마을기업 육성을 통해 청년 상인을 시장으로 유입시켜 젊고 활력있는 시장을 조성할 방침이다.
아울러 장인점포를 발굴해 브랜드화하고 시장 주변의 역사·문화자원과 연계한 관광코스를 개발하는 등 전통시장을 한류관광 명소로 만들어 나갈 계획이다.
시는 이러한 정책들을 전담하는 '서울전통시장진흥센터'를 세워 조사, 연구 및 평가, 경영현대화사업에 대한 자문과 상당 등을 실시하고 '서울전통시장 상인회관'을 설립할 예정이다.
이번 대책과 관련, 시는 이날 오전 11시 서울광장에서 열리는 제1회 전통시장 박람회 개막식에 앞서 전통시장상인회와 자치구, 서울상인연합회와 함께 공동협약을 맺는다.
시는 전통시장 홍보뿐만 아니라 관광정책과의 연계를 통한 방문객 증가, 브랜드가치 상승, 일자리 창출 등의 효과를 얻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박원순 시장은 "전통시장이 다시 살려면 상인이 서야 한다"며 "시와 상인들이 공동협약을 한 이번 정책은 실질적으로 상인을, 시장을, 지역을 살리는 정책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