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 교육도 이젠 맞춤형으로…교육정보 통합제공
앞으로 공무원 교육도 개인 맞춤형으로 개선되고 교육훈련기관간 소통과 협업도 강화된다.
안전행정부는 공공기관 지방이전과 부처간 칸막이 제거 등 달라진 공직 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공무원 교육훈련 개선방안을 마련해 추진한다고 14일 밝혔다.
우선 부처나 소속 교육기관(중앙 32개·지방 15개)에서 제공하는 획일적인 교육과정을 교육기관의 교육과정 정보를 통합 제공해 공무원 개개인의 교육선택 기회를 확대한다.
안행부는 이를 위해 교육정보 통합시스템을 구축, 모든 교육기관과 민간위탁 교육정보를 시스템에 등재할 예정이다.
키워드 검색을 통해 개인이 원하는 교육과정이 언제 어디에 개설되는지 한 눈에 알 수 있고, 인터넷을 통해 바로 신청도 할 수 있다.
또 각 교육기관에서 과정을 개설할 때 그 내용과 관련된 부처에 교육생 추천 공문을 발송하도록 해 기관별 칸막이를 없애고 부처 간 협업을 통해 전문성을 높여나갈 계획이다.
예를 들어 안행부 지방세 부서 공무원은 국세공무원교육원의 '국세 교육' 과정을 수강할 수 있고 국토부 도시건축 부서 공무원은 국립환경인력개발원 '환경 분쟁 조정과정' 수강하는 식이다.
이와 함께 매년 초 개인별 연간교육계획을 수립할 때 부서장의 지도를 의무화해 직원별로 부족한 역량이 무엇이고 어떤 교육을 받아야 할지 추천하도록 할 계획이다. 교육과정이 끝난 후에는 교육이 실제 업무성과에 얼마나 기여했는지 평가하기로 했다.
김승호 안행부 인사실장은 "이번 개선방안은 공무원 교육을 개인별 맞춤형으로 전환하고 교육기관간 칸막이를 없애는 데 초점을 맞췄다"면서 "이를 통해 교육의 실효성이 한층 높아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