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천구, 24시간 제설대책 상황실 운영, 장비,자재 준비 완료, 순찰 기동대 편성 등

2013-11-14     이원환 기자

양천구는 11월 15일부터 내년 3월 15일까지 4개월 동안 24시간 제설대책 상황실을 운영하기로 하고, 총 3단계에 걸쳐 눈 치우기 준비를 마쳤다.
전귀권 양천구청장 권한대행은 “기상이변의 추세 속에 아무리 눈이 많이 와도 구민들이 편리하고 안전하게 생활할 수 있도록 제설 장비와 자재, 시스템에 대한 준비를 완료했고, 취약지점에 대한 초동제설도 만반의 준비를 마쳤다.”고 말했다.
구는 우선, 강설시 바로 제설작업이 가능하도록 모든 제설장비에 대한 정비를 완료했다. 제설장비 현대화를 위해 총 1억 4,500만원을 투입해 제설살포기 11대를 구매하고 제설차 2대, 다목적차 1대, 5톤용 2대, 15톤용 3대, 행정차량용 18대, 컨베이어벨트 1대 등 총 27대의 차량에 염화칼슘 살포기를 완비했다. 또, 염화칼슘 462톤, 소금 1,285톤, 친환경 제설제 73톤, 모래 50㎥의 제설자재를 사전 확보했다. 이 양은 양천구 5년 평균 사용량의 180%이상에 해당되는 양이다.
제설순찰 기동대도 편성했다. 총 38명으로 구성된 제설순찰 기동대는 강설시 구청, 동 주민센터에서 확보한 19대의 순찰차량을 이용해 간선도로 취약지점 등을 기동 순찰하고 제설대책본부에 연락해 신속한 제설작업을 실시하는 체계로 움직인다.
구는 사전 협약을 통해 폭설에 대비한 민․관․군 협력체계를 구축했다. 민간 장비 동원을 위해 4개 업체와의 협약 체결로 포크레인 38대, 덤프 58대, 바브켓 25대를 확보하고, 덤프 4대, 굴삭기 4대의 공공 공사장 장비도 동원하기로 했다.
군부대 지원 사전 협의로 카고트럭 4대, 군 인력 350명을 지원받고, 특히 강설시 주민 불편이 우려되는 마을버스 노선에 대해서는 운수업체별 자율제설단을 구축해 노선별 책임 제설작업을 실시하기로 했다. 이밖에도 시군구 경계구간 동시소통을 위한 광역제설을 위해 인접 자치단체와 공조체계 협약을 체결하고 제설작업 공조구간과 제설공조내용을 미리 설정했다.
한편, ‘내 집 앞, 내 점포 앞 눈치우기’ 범구민 운동과 더불어 자원봉사자와 함께하는 지역밀착형 제설도 중요하다. 양천구 자원봉사센터에서는 12월 5일부터 제설활동 참여 자원봉사자를 모집하고, 취약계층 시설 주변이나 주택가 골목길 등의 거점 구역을 지정해 눈을 치우고, 일일 최대 8시간의 자원봉사시간을 인정해준다.
구는 신속한 초동제설을 위해 잔설 적치장을 기존 1개소에서 2개소로 추가 확보하고, 제설차, 유니목, 화물차 등으로 구성된 총 8조의 눈 밀어내기 조를 편성하고 조별 순찰노선 및 작업 구간을 미리 설정해 신속한 초동 제설을 위한 준비를 마쳤다. 주요간선도로, 고가차도, 지하차도, 고갯길 등 취약지점은 경찰청 CCTV를 활용해 모니터링 후 신속한 초동 제설을 실시한다.
취약지점에 대한 사전 조치도 완료했다. 취약지점별 환경미화원 제설책임제 시행으로 강설시 심야 및 출퇴근시간 전 제설제를 살포하는 시스템을 마련하고, 고갯길 등 취약지점에 총 94개소의 제설함을 설치하고, 염화칼슘, 소금, 모래 등 비치 등의 자재를 채웠다. 고지대 최약지점에 대해서는 ‘염화칼슘 보관하는 집’ 총 302개소를 선정해 설치하고 염화칼슘 1,510포대를 배치했다. 이밖에도 이면도로 제설을 위해 18개 동 행정차량에 소형살포기를 탑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