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어린이놀이터 '컨설팅+설치검사' 패키지 운영
서울시가 내년 6월까지 어린이놀이시설(어린이놀이터) 사전컨설팅+설치검사 패키지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놀이터 관리주체들은 이 기간동안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면 비용을 절감하면서 동시에 설치검사 합격률을 높일 수 있다.
서울시는 서울시내 총 7604곳의 어린이놀이시설 안전관리 실태를 일제점검, 의무이행률을 높이기 위해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어린이놀이시설 안전관리대책'을 마련했다고 14일 밝혔다.
어린이집 안전관리의무 이행실태 일제점검은 지난 8월~9월말까지 자치구별 점검반을 투입해 이뤄졌다.
주택단지 5304곳, 도시공원 1342곳, 어린이집 769곳, 음식점 내 놀이시설까지 총 7604곳이 대상이었다.
서울시가 마련한 안전관리대책을 구체적으로 보면 우선 시는 어린이놀이시설 안전검사를 하는 설치검사 기관 4곳과 협의, 사전 컨설팅과 설치검사를 연계해 제공하는 패키지 프로그램을 내년 6월까지 운영한다.
패키지 프로그램에선 시설·기구별 사전 컨설팅을 통해 합격기준 미달 내용이 무엇인지 불합격사유를 사전에 알려주기 때문에 기구교체나 보수 등을 통해 문제점을 미리 개선해서 본 검사를 받을 수 있다.
이렇게 되면 불합격할 경우 재검사를 또 받는 과정에서 부담해야 하는 비용(개소 당 평균 30만원)을 줄일 수 있다.
서울시는 아직 설치검사를 받지 않은 공공시설의 경우 2014년도 예산을 확보해 설치검사를 조기에 완료하는 한편, 민간시설은 개·보수비용 일부지원 및 집중안내로 조기에 검사가 완료될 수 있도록 유도할 예정이다.
자치구의 공동주택 지원사업 선정 시 어린이놀이시설 개·보수비용을 반영한 사업을 우대해 선정하고, 공동주택 관리주체의 장기 수선계획 변경 시 어린이놀이시설 개·보수비용 반영을 요청한다.
또한 시·구 홈페이지, 보육통합시스템, 아파트입주자대표회의, 반상회 등을 통해 어린이놀이시설 안전관리에 대해 홍보하고 설치검사의 조기이행을 독려할 계획이다.
불합격 판정을 받은 290여 곳 놀이터에 대해서는 일괄 컨설팅을 실시해 시설 개·보수를 독려키로 했다.
재검사 후 합격 전까지는 안내문을 부착하고 시설의 이용을 중지해 이용자에게도 안전관리 의무를 환기시키는 등 안전사고를 예방한다.
이밖에 서울시는 서울시내 어린이집 원아들을 대상으로 놀이시설의 안전 이용방법에 관한 교육도 시작한다.
천석현 서울시 시설안전정책관은 "이번 대책을 통해 서울시내 전체 어린이놀이시설에 대한 설치검사를 유도하여 안전기준에 미달하는 시설들은 해소해 나가는 데에 주력하겠다"며 "아이들의 문화공간인 놀이터가 아이들은 안전하게, 부모들은 안심하고 이용할 수 있는 공간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