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LL대화록 유출 논란' 김무성 의원 "정보지 보고받고 확신"
"찌라시 중 대화록 관련 문건 보고받아 확신""대화록 본 일 없다" 거듭 강조
2007년 남북정상회담 회의록 유출 의혹을 받고 있는 새누리당 김무성 의원이 13일 9시간에 가까운 검찰 조사를 끝내고 귀가했다.
서울중앙지검 공안1부(부장검사 최성남)는 이날 오후 3시께 김 의원을 피고발인 신분으로 소환해 오후 11시55분까지 고강도 조사를 벌였다.
김 의원은 조사를 마친 직후 취재진으로부터 서해북방한계선(NLL) 포기 발언 근거를 묻는 질문에 "작년 선거 당시 각종 찌라시(정보지)가 난무했는데 대화록에 관한 일부 문건이 들어왔다"며 "밑에서 보고서 형태로 문건을 만들어서 정리했다"고 밝혔다.
이어 "보고서 내용이 정문헌 의원이 얘기한 것과 동일했고 블로그, 월간지 등에서 본 내용과 같아 검토를 거쳐 확신을 갖고 연설했다"며 "정보지의 출처는 정확히 알 수 없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생각보다 질문 양이 많아 강도높은 조사를 받았지만 성실하게 답변했다"며 "대화록은 본 일은 없다"고 재차 강조했다.
새누리당 선거대책위원회 총괄본부장이었던 김 의원은 지난해 12월14일 부산 선거 유세에서 '노 전 대통령이 NLL 포기 발언을 했다'고 주장, 정상회담 회의록 내용을 사전 열람·유출한 혐의를 받고 있다.
검찰은 김 의원을 상대로 국가 기밀로 취급되는 회의록 열람 여부, 회의록 관련 내용을 입수한 경위와 목적, 노 전 대통령의 NLL 포기 발언을 주장한 근거 등을 조사했다.
검찰은 새누리당 정문헌·서상기 의원에 대해서도 소환 일정이 조율되는 대로 차례로 불러 조사할 계획이다.
검찰은 김 의원 등에 대한 조사결과를 검토하는 대로 사법처리 여부를 확정하고 이달 안에 최종 수사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앞서 민주당은 지난 6월 말 서상기·윤재옥·정문헌·조명철·조원진 등 새누리당 의원 5명과 남재준 국정원장·한기범 국정원 제1차장을 고발한데 이어, 7월 초 김무성 의원과 권영세 주중국대사 등을 추가 고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