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 “올림픽 보이콧 검토 안 해…종전선언 끝까지 노력”

文대통령, 한·호주 정상회담 공동기자회견 답변 “양안 관계, 韓 평화와 연계…대화 통해 발전 기대”

2021-12-13     우리방송뉴스
▲ 한-호주 공동기자회견 발언하는 문 대통령. /뉴시스

호주를 국빈 방문 중인 문재인 대통령은 13일(현지시각) 내년 2월 베이징 동계올림픽의 외교적 보이콧 여부에 대해 “한국 정부는 검토하고 있지 않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호주 수도 캔버라에서 열린 스콧 모리슨 호주 총리와의 한·호주 정상회담 후 공동기자회견에서 ‘베이징 동계올림픽 보이콧 여부를 검토하고 있느냐’는 질문에 이렇게 답했다.

문 대통령은 “베이징 올림픽에 대한 외교적 보이콧에 대해서는 미국을 비롯한 어느 나라로부터도 참가 권유를 받은 바 없다”고 덧붙였다.

문 대통령은 ‘중국과 갈등 관계에 있는 호주 방문이 중국에 좋지 않은 신호를 보낼 수 있다’는 질문에 “오커스는 호주가 주권국으로 자주적으로 결정할 문제”라며 “한국은 그 결정을 존중한다”고 말했다.

이어 “호주는 인도·태평양 평화·번영을 위해 노력하고 있고, 역내 갈등 분쟁 원하지 않는 걸로 안다”며 “한국은 역내 평화를 위해 호주와 긴밀히 협력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문 대통령은 “오늘 호주 방문은 중국의 입장과 아무런 관련이 없다. 핵심광물 공급망 협력, 탄소중립 기술 협력 확대, 자주포 획득 사업 등  방산협력을 강화하는 게 한국 국익에 매우 중요했다”며 “그것이 역내 평화와 번영, 세계경제 회복에도 매우 중요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문 대통령은 향후 대(對) 중국 관계 설정에 대한 질문에 “경제적인 측면에 있어서 중국과의 관계가 매우 중요하다”면서 “한국은 한 가지 더 있는데 그것은 한반도의 평화와 안전, 그리고 북한의 비핵화를 위해서 중국의 건설적인 노력이 요구된다는 점”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래서 한국은 미국과의 굳건한 동맹으로 삼으면서 중국과의 조화로운 관계 유지해 나갈 수 있도록 노력해 나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분명 중국과의 관계에 있어서는 갈등하는 문제도 있고, 경쟁하는 문제도 있다. 한편으로는 기후변화, 공급망 문제, 감염병 문제 등 글로벌 과제에 대해서는 협력해야 될 분야도 있다고 생각한다”며 “이런 부분을 조화롭게 관리해 나가면서 자유롭고 열린 인도· 태평양을 위해, 또 인도·태평양 역내의 평화·번영을 위해서 호주와 함께 협력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조 바이든 행정부가 북한에 첫 대북제재 조치를 가한 상황에서의 종전선언 추진 구상에 대한 질문에는 구체적인 언급을 피했다. 마지막까지 추진한다는 기존 원론적 입장을 되풀이 했다.

문 대통령은 ‘바이든 정부가 첫 대북제재 조치를 한 가운데 종전선언 구상에 대한 입장을 확인 해달라’는 취지의 질문에 “종전선언이 이뤄지려면 어떤 내용이 담겨야 하는데, 관련국 사이의 합의가 이뤄져야 하고, 종전선언 이후 한반도 비핵화와 한반도 평화체제의 구축을 위해서 어떤 프로세스 이뤄져야 하는지에 대해서도 서로 공감이 이뤄져야만 이뤄질 수 있는 문제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종전선언은 70년 가까이 지속되고 있는 불안정한 정전체제를 종식시키고 전쟁을 종식시킨다는 자체의 중요한 의미도 있지만 한편으로는 남북·북미 간에 대화를 재개할 수 있는 중요한 대화 모멘텀이 된다”면서 “또 하나는 앞으로 비핵화 협상과 평화체제 관한 협상을 본격적으로 시작할 수 있는 그런 출발점이 된다는 중요한 과정으로서 의미가 있는 것으로 우리 정부는 마지막까지 가급적 대화를 통해서 접근이 이뤄질 수 있도록 노력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호주가 갈등이 고조되고 있는 중국과 대만의 양안(兩岸) 관계에 개입 의사를 밝힌 것에 대한 한국 정부 입장에 관해선 “양안 관계의 평화와 안정은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위해서도 매우 중요하고 긴밀하게 연계돼 있다”며 “양안 관계에 있어서 대화를 통해서 평화롭게 발전해 나가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