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선관위 "대선 개표 오분류 논란 4곳 조사착수"
"투표지 이미지파일 전수조사…언론공개는 검토 중"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7일 지난 대선에서 전자개표기로 불리는 투표지분류기와 실제 수검표 결과가 수십표 가량 차이나는 것으로 확인된 전국 4곳 투표구에 대해 조사에 나섰다.
중앙선관위는 문제가 된 4곳 투표구의 제어용PC를 회수, 본격 조사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중앙선관위 관계자는 뉴시스와 통화에서 "문제가 된 4곳 투표구의 이미지파일이 담긴 제어용PC를 회수해 조사를 진행 중"이라고 설명했다.
중앙선관위는 최근 서울 양천구 목3동 4투표구(86표), 양천구 신정7동 1투표구(18표), 서울 서초구 양재1동 1투표구(87표), 인천 남동구 논현고잔동 6투표구(36표) 등 4곳에서 10표 이상 오분류 된 사실을 인정했다. 문상부 중앙선관위 사무총장은 이와 관련 "4곳에서 설명하기 어려운 것이 발견됐다"고 설명한 바 있다.
그동안 투표지분류기가 도입된 2002년 이후 단 한 건의 오분류가 없었다고 주장해 온 선관위의 신뢰성에 금이 간 것이다.
하지만 중앙선관위는 구체적인 오분류 사례가 밝혀진 뒤에도 다양한 가능성들만 제시했을 뿐, 지금까지 제대로 된 해명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선관위가 조사에 착수한 이미지파일은 투표지가 투표지분류기를 통과하면서 스캔된 것으로 전산조직인 제어용PC에 저장 돼 있다.
이를 확인하면 투표지분류기에서 오류가 발생한 것인지 수작업에서 오류가 발생한 것인지 판단할 수 있는 셈이다.
문 사무총장도 지난 1일 열린 국정감사에서 "투표지가 한장 한장 사진으로 찍혀 저장 돼 있다. 투표함을 열지 않더라도 이것(이미지파일)을 보고 확인하면 현물을 보는 것과 같다"고 말한 바 있다.
소송이 진행중이라 투표함을 열어 볼 수는 없지만 이미지파일을 확인해 원인을 규명할 수 있다는 설명으로 받아들여진다. 선관위는 제어용PC의 경우 법적인 봉인 규정이 없기에 이미지파일을 열어 볼 수 있다는 설명이다.
하지만 언론의 이미지파일 공개 요구에 대해서는 즉각적인 답변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중앙선관위 관계자는 "소송이 진행중이라 재판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공개 할지 말지 여부는 검토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