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동구 통합관제센터 - 경찰서 간 전국 최초 온라인 CCTV 영상정보제공시스템 구축
행정력 절감, 신속한 사건 해결로 맞춤형 안전서비스 제공
성동구가 ‘u-성동 통합관제센터’와 성동경찰서간 온라인 CCTV영상정보제공시스템을 구축해 주민에게 보다 신속하고 안전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게 됐다.
구는 방범, 불법주정차단속, 그린파킹, 쓰레기무단투기단속 등 다양한 목적의 CCTV 통합 운영 및 실시간 관제를 통해 긴급 상황 발생시 신속히 대응하고, 성동경찰서 112상황실에 지리정보시스템(GIS)과 연동된 화면을 통해 실시간 CCTV 영상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사건 발생 후 신속한 범인검거를 위해서는 CCTV영상정보를 경찰서에 얼마나 빠르고 안전하게 전달하느냐에 따라 그 결과가 달라진다.
이번에 구축한 영상정보제공시스템은 사건 접수 후 경찰관이 통합관제센터를 직접 방문하여 이동식저장장치(USB)로 영상을 복사하여 제공받던 방식을 여러 보안대책을 통해 언제 어디서든 온라인으로 신청하고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했다.
그간 구청 통합관제센터에서 경찰서에 범인검거를 위해 매년 많은 CCTV영상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나 제공된 영상정보의 분실, 파기여부 등 영상정보에 대한 안전한 관리에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주민의 안전을 위해 투입된 CCTV 구축예산에 비해 CCTV 활용률이 지극히 미비해 이에 대한 개선이 요구되었다.
영상정보제공시스템은 언제 어디서든 사용 승인된 경찰관이 사이트(ves.sd.go.kr)에 접속해 인증절차를 거친 후 사건주변에 설치된 다목적 CCTV를 선택 신청서를 제출하고, 센터 상주경찰관이 공문 확인 후 승인절차를 마치면 자동으로 업로드 되며 SMS(문자메세지)가 발송된다.
사이트 접속 권한 변경만으로 전국 모든 경찰서에서 u-성동 통합관제센터를 방문하지 않고 신청․제공 받을 수 있다.
지난 한 달간 시범운영을 통해 CCTV활용률은 기존1%에서 30%로 증가해 CCTV 구축이 치안 서비스에 기여하고 있음이 확인됐고, 재생기간을 서울지방경찰청 규정에 따라 14일로 제한해 파기업무에 대한 행정력을 절감할 수 있도록 했다.
사건장소에 기초한 범죄유형, 사건해결 여부 등을 실시간으로 확인해 동별 범죄취약지역을 쉽게 파악하고, 특정범죄 집중모니터링 실시 및 CCTV 우선설치 지역 파악에 활용될 수 있도록 지리정보시스템(GIS)과 연동해 지역별 범죄 지도를 작성할 수 있도록 했다. 이를 통해 주민에게 맞춤형 안전서비스를 제공하게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