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부터 서울 학교 급식 식재료 30% 방사능 검사
서울시교육청이 내년부터 학교급식을 시행하는 전체 유·초·중·고 30%에 대해 수산물 등 식재료 방사능 검사를 실시한다.
시교육청은 이같은 내용을 담은 '방사능 등 유해물질로부터 안전한 식재료 공급을 위한 학교급식 식재료 안전강화 대책'을 4일 공개했다.
이번 방안은 지난달 제정된 '서울시교육청 방사능 등 유해물질로부터 안전한 식재료 공급에 관한 조례'에 따른 후속 조치다.
조례에는 교육감이 학교급식에 유해물질이 포함된 식재료가 공급되지 않도록 검사를 실시해야 하며 학교별로 연 1회 이상 전수검사가 이뤄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이에 따라 시교육청은 내년부터 식품 전용 방사능 측정기를 12대 도입, 전체 유·초·중·고 2078개교 중 약 30%에 해당하는 630건에 대해 방사능 검사를 실시한다는 계획이다.
검사 대상은 학교 급식에 납품되는 수산물, 농산물, 축산물, 가공식품 등으로 수산물이 가장 우선된다.
서울시와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과도 협의해 수산물 방사능 합동검사를 실시한다. 시교육청이 배당받은 정밀검사 건수는 내년 30건으로 보건환경연구원이 방사능 측정기를 추가 도입할 경우 물량을 확대할 예정이다.
농산물 잔류농약 검사의 경우 초·중·고 1214개교를 대상으로 연 3800건 실시할 계획이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현실적으로 모든 학교에 대해 방사능 전수검사를 한다는 것은 무리"라며 "일단 방사능의 경우 연 30% 수준에서 하되 잔류농약 검사는 전 학교를 대상으로 실시, 조례 내용을 충족시킬 것"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방사능 측정기의 경우 어떤 제품을, 얼마에 구입할 지도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그는 "현재 전문기관에서 사용하고 있는 1억5000만원 짜리를 구입할 수는 없다"며 "자연 방사능과의 차이를 구분할 수 있다는 업체의 제품을 알아보고는 있는데 아직 전문가에게 검증된 것이 아니라 추이를 지켜보고 있다"고 전했다.
방사능 등 유해물질 식재료가 발견됐을 경우 해당 학교 뿐 아니라 시교육청, 학교보건진흥원, 지역교육청 홈페이지에 관련 정보를 제공한다.
이와 함께 전문가 학교급식 위원회를 위촉하고 학부모, 영양사, 식재료 납품업체 등 학교급식 관계자들을 교육·연수하는 등 학교급식 안전관리 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