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대통령, 유네스코 사무총장 접견…협력 강조
6박8일간의 서유럽 방문 첫 일정으로 프랑스를 방문 중인 박근혜 대통령은 3일(현지시간) 이리나 보코바(Irina Bokova) 유네스코(UNESCO) 사무총장과 만나 문화협력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박 대통령은 이날 오후 프랑스 파리에서 보코바 사무총장과 접견하고 교육·문화·과학 등의 분야에 대한 한·유네스코 협력 관계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
박 대통령은 이날 보코바 사무총장의 연임 지명에 대해 "미리 축하드린다"고 언급한 뒤 "유네스코 헌장의 '전쟁이 시작하는 곳은 바로 인간의 마음 속이기 때문에 평화의 방벽을 세워야 할 곳도 바로 인간의 마음이다'라는 서문의 내용을 제가 아주 인상깊게 기억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한국 새 정부에서도 문화융성을 국정의 중요한 기조로 삼고 있는데 그동안 지적 교류라든가, 문화라, 교육, 이런 걸 통해서 세계평화와 인류복지에 기여하고 있는 유네스코와 아주 좋은 파트너로서 긴밀하고 협조적인 관계가 더욱 발전하길 바란다"고 기대했다.
보코바 사무총장은 "이미 한국을 세 차례 방문한 바 있다"며 "한국을 좋은 유네스코의 좋은 파트너로 보고 있다"고 언급했다.
보코바 사무총장은 또 한국이 1987년부터 연속 6차례 유네스코 집행이사국을 수임하는 등 교육·문화·과학·정보통신 등의 분야에서 적극적인 활동을 펼치고 있다고 평가하고 유네스코의 지원을 받던 수혜국에서 공여국이자 협력 파트너로 발돋움한 한국의 발전 경험을 국제사회와 공유할 것을 기대했다고 청와대는 전했다.
이어 한국이 전통문화 보존에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는 점과 문화의 현대화와 산업과의 융합을 통해 새로운 일자리, 사회적 통합, 경제성장 등을 추구하면서 건축과 디자인 등 다양한 분야에서 창의성을 도모하고 있는 훌륭한 사례라고 평가했다.
이에 박 대통령도 우리나라의 경험을 개도국과 공유할 의지가 있다는 점을 밝히면서 한·유네스코 협력이 확대될 수 있도록 보코바 총장이 관심을 갖고 협조해줄 것을 당부했다.
또 최근 김치와 김장문화에 대한 유네스코의 인류무형유산 등재 권고 판정을 높이 평가하는 한편 고구려 고분벽화 보존사업이 평화와 문화를 조성하는 매개자로서 유네스코를 통한 남북한 간 협력사업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모범적인 사례라고 평가했다.
아울러 한국이 교육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임을 강조하면서 2015년 세계교육회의 유치를 위한 보코바 사무총장의 관심을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