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朴대통령 전방위 공세…"대한민국 자존심 지켜달라"
민주당은 30일 일본 정부의 집단적 자위권 문제와 국가정보원 댓글조작 의혹에 대한 검찰수사 외압 논란과 인사문제 등에 대한 박근혜 대통령의 대응에 대해 비판하며 전 방위적 공세를 펼쳤다.
김한길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일본 재무장 움직임에 대한 박 대통령의 침묵을 비판하면서 "일본의 군사대국화는 필연적으로 한반도의 긴장고조를 불러온다. 박 대통령은 더 이상 침묵하지 말고 아베정권에게 분명한 반대 입장을 표명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김 대표는 "과거사 반성은커녕 제국주의자라고 불러도 좋다며 막나가는 아베정권을 우리정부가 용인하는 것은 결과적으로 역사와 민족, 국익 등 우리나라를 불행하게 만드는 것"이라며 "국민은 주권국가인 대한민국의 자존심을 지켜주는 당당한 대통령이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그는 국정원에 대한 검찰수사 외압 논란과 관련, "이제라도 대통령이 나서서 진상을 명명백백하게 규명하자, 책임자를 문책하겠다, 재발방지를 위해 제도를 개혁하자, 이렇게 말하면서 사과하면 될 텐데 박 대통령은 계속 침묵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인사문제에 대해서도 "국민이 걱정하는 사정기관장의 싹쓸이 인사문제에 대해서도 인사권자인 대통령이 직접 말해야 한다"며 "대통령은 침묵한 채 청와대와 여당이 능력 있는 사람을 고르다보니 이렇게 됐다고 말하는 것은 PK(부산·경남) 제외한 다른 지역 사람들을 두 번 죽이는 저급한 독설일 뿐"이라고 주장했다.
전병헌 원내대표 역시 정홍원 국무총리의 대국민담화와 관련, "대통령이 총리를 시켜 얼버무리고 청와대 비서실장이 여당 사무총장을 시켜서 입장을 전하는 게 과연 박근혜정권의 소통방식인지 국민은 의아해하고 있다"고 말했다.
전 원내대표는 김진태 검찰총장 후보자 내정과 관련해서도 "김기춘, 정홍원, 김진태 등 이른바 초원복집 3인방의 삼각편대가 구축됐다는 게 드러났다"며 "김진태 카드가 국정원 선거개입 사건을 제2의 초원복집 사건으로 만들려는 것은 아닌지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고 지적했다.
그는 "능력 중심으로 하다 보니 지역이 편중됐다고 하는 것은 서부경남 국민을 제외한 모든 국민에 대한 모욕이고 모독"이라며 "세상은 넓고 인재는 많다. 우물 안 인사는 인사망사 인사참사의 지름길"이라고 지적했다.
신경민 최고위원은 박 대통령의 '비정상의 정상화' 방침에 대해 "공약 안 지키는 게, 국정원 수사라인을 찍어내는 게, PK인맥으로 사정라인을 채우는 게, 법원의 수장을 감사원장으로 내세운 게, 순방정치·패션정치·시구정치·대독정치·침묵정치가 정상화인지 답해야 한다"며 "정상의 비정상화"라고 꼬집었다.
양승조 최고위원은 "박근혜 대통령은 하늘에서 리모콘으로 총리를 조종하고 초월적인 존재처럼 행동한다"며 "박 대통령에게 경고한다. 국민을 우롱하지 말라. 숨어있는 시간이 길어질 수록 국민들은 분노할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우원식 최고위원은 전국교직원노동조합 법외노조화에 대해 "50년 전 아버지 고(故) 박정희 대통령은 무력으로 정권을 찬탈하고 공무원 노조 결성권을 빼앗았다"며 "아버지가 빼앗은 단결권을, 또 그의 딸 박근혜 대통령이 헌법이 보장하는 단결권을 다시 빼앗은 것"이라고 맹비난했다.
박혜자 최고위원은 "(정부가) 일본의 집단적 자위권 행사에 대해서는 단호한 반대 입장을 전달하지 않고 용인하고 말았다"며 "우리 영토나 영해에 들어오는 것은 주권국가 대한민국의 고유 권리다. (자위권 행사)주체인 일본도 아니고 미국에게 (우리 입장을) 말하는 것인가"라고 비판했다.
박 최고위원은 또 "미국의 도청에 대해서도 (정부는) 아무 말 하지 못하고 있다. 국민에게는 온갖 실정에도 사과하지 않고 오만으로 일관하면서 (미국 정부에는) 한 마디도 못하는 것인가. 국민께는 겸손하고 미국에는 당당할 수 있는 대통령을 원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