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재정 "예술의전당 예술대상, 與정치 편향 우려"

2013-10-29     이원환 기자

예술의전당 예술대상 조직위원회 위원의 절반 이상이 여당 성향의 정치색을 가진 인물로 구성됐다는 지적과 함께 예술계의 '정치 편향' 우려가 제기됐다. 예술의 전당 고학찬 사장에 대해서는 '코드 인사' '낙하산 인사' 논란이 또다시 도마에 올랐다.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민주당 배재정 의원은 29일 예술의전당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토대로 분석한 결과 예술대상 조직위원 15명 가운데 과거 한나라당을 포함한 새누리당과 관련된 인사가 9명으로 60%를 차지했다고 주장했다.

배 의원은 우선 2006년 한나라당 제주도지사 후보를 지낸 현명관 위원장은 2007년 박근혜 캠프 경제자문회의 위원으로 활동하면서 '줄푸세(세금 줄이고 규제 풀고 법질서 세우고)' 공약을 만들었다.

현경대·엄기영·최불암·송도균·정종섭 위원은 새누리당(전 한나라당) 및 박근혜 대선 캠프 등과 직간접적인 관계를 가졌거나 유지하고 있다고 배 의원은 밝혔다.

배 의원은 또 박선주 위원은 새누리당 이한성 의원이 고문으로 있던 법무법인의 대표고 이경숙 위원은 박근혜 지지 여성예술인 지지선언 명단에 이름을 올린바 있다고 설명했다.

예술의전당은 예술의전당 공연장과 전시장에서 개최되는 공연, 음악, 전시의 권위와 수준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예술대상을 중점 추진하고 있으며, 내년 9월 시상식 개최가 목표다.

배 의원은 "정치색이 짙은 사람이 절반 이상 포진된 조직위가 구성하는 심사위원도 정치색이 반영될 수 있어 우려된다"며 "만약 정치색이 반영된다면 예술인들 편 가르는 예술대상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배 의원은 고학찬 사장에 대해서도 '코드 인사' '낙하산 인사' 의혹을 제기하면서 "대통령의 후광을 업고 예술계 편 가르기 앞장서는 것은 옳지 않다"고 지적했다.

그는 "고 사장은 극단 신협에서 잠시 활동했지만 주요 경력은 방송 관련 전문가"라며 "문화체육관광부는 실제로 공연장을 운영한 경력을 차별성 있게 부각했지만 윤당아트홀은 직원 4명에, 260석, 150석 공연장이 있는 소규모 공연장이며 2009년에 개관하여 운영 기간도 길지 않다"고 지적했다.

배 의원은 또 고 사장은 박근혜 대통령의 싱크탱크 역할을 하는 국가미래연구원의 문화예술분야 간사로 활동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