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기준 의원, 국방부와 안보관련 시설 위험 경고

사이버방어 및 상시형 도청탐지기 설치 필요성 제기

2013-10-15     류길호 기자

유기준의원은 “국방부와 안보관련 시설이 사이버 해킹의 표적이 되고 있다”며 사이버 테러의 위험을 경고했다.

새누리당 유기준의원(부산 서구)은 보도자료를 통해 “우리군을 대상으로 북한을 포함한 종북세력 등의 주요 사이버 공격이 2010년 사이버사령부 창설 이후 금년 9월까지 6,486건으로 최근 3년간 연평균 약 2천여건에 달한다”면서, “북한의 사이버전 위협이 증가하는 추세에 대해 철저한 안보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국방부 사이버사령부가 유기준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2010년 1,061건 △2011년 2,345건 △2012년 1,945건 △2013.9월 1,139건으로 나타났다.

유 의원은 “사이버 공격은 공간과 시간을 초월, 무차별적 공격이 시도되고 있으며, 그 종류도 홈페이지 공격, 악성코드 공격, 해킹메일 공격 등 다양화 지능화 고도화 되고 있어, 공개되지 않은 해킹공격 사례까지 포함하면 주요 안보시설에 대한 사이버테러는 상상을 초월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국방부 사이버사령부에 따르면, 그동안 군내 인터넷 해킹사례 중에 북한의 것으로 추정되는 IP는 총 1278개로 나타났으며, 미국 다음으로 한국이 사이버 공격을 가장 많이 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유 의원은 오늘날 사이버공격과 해킹은 물리적으로는 복구가 어려운 국가적 혼란까지 초래할 수 있는 막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사이버 공격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사이버공격에 대비한 전문인력 양성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국방부는 유의원의 지적에 공감을 표시하면서, 작년부터 고려대학교에 사이버국방학과를 개설하여 지속적인 사이버위협 증가 및 각계각층의 전문인력 확보와 양성에 노력중이라고 답변했다.

국방부는 최근 사이버테러의 추세를 감안할 때, 사이버공격 방어뿐만 아니라 상시도청탐지기 설치를 통해 북한 등 적으로부터의 테러를 방지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