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영길 "無계파" vs 우원식·홍영표 "없는 걸 정치적 이용"
민주당 당권주자 3인방 '계파 프레임' 논쟁 가열
더불어민주당 당권주자 3인방 간에 이른바 ‘계파 프레임’ 논쟁이 격화되고 있다.
송영길 후보가 ‘나는 계파찬스로부터 자유롭다’면서 우원식·홍영표 후보에게 견제구를 날리자, 두 후보는 당내 계파 구분을 일축하며 맞대응에 나섰다.
우원식 후보는 20일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와의 인터뷰에서 “이미 이해관계를 나누는 계파는 우리한테 없고 의원들 간 친소관계에 의해 모이는 정도의 모임들이 있다”며 “계파를 꺼내는 순간 없던 계파가 생기는 것”이라고 밝혔다.
송 후보가 지난 16일 BBS 인터뷰에서 “나는 계보 찬스를 쓰지 않는 평등한 출발선에 선 민주당원”이라며 “알다시피 홍영표 의원은 (친문) 부엉이 모임의 지지를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우원식 의원은 민평련이라는 당내 모임의 지지를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 않느냐”고 지적한 것을 재차 반박한 것이다.
이와 관련, 우 후보는 “계보는 공천권과 연결되서 이해를 주고받는 사람들의 모임이다. 우리는 지난번 계파를 없애기 위해 시스템 공천을 도입했다”며 “이번 국회에서 공천 가지고 싸움을 한다거나 그런 게 전혀 없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갑의 횡포를 막고 을의 눈물을 닦는 을지로위원회와 민생이 저의 정치철학 중심”이라며 “이것을 ‘계파 찬스’라고 하는 것은 말이 안 된다”고 강조했다.
홍영표 후보도 YTN 라디오 ‘황보선의 출발 새아침’과의 인터뷰에서 계파 구분에 대해 “한마디로 옛날이야기”라며 “도대체 어떤 기준이 친문이고 비문인지 나는 사실 잘 모르겠다”고 말했다.
홍 후보는 “소위 우리 당에서 그런 식의 계파, 의원들을 분류하는 건 4.7 재보궐선거 참패 이후에 나타난 언어들”이라며 “나는 그런 건 우리 민주당에는 없다고 생각한다”고 잘라 말했다.
그는 “사안별로 서로 의견이 같을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고, 정치 상황에 대한 평가도 서로 보는 관점이 다를 수 있는데, 그것을 친문, 비문으로 나눌 수는 없다”면서 “항상 선거 때 되면 정치적인 이해관계 때문에 이걸 활용하는 사람들이 있다”고 의혹을 제기하기도 했다.
반면 송영길 후보는 “계파와 파벌에서 자유로운 송영길이 공정하고 투명하게 대선 경선을 관리하겠다”면서 자신의 ‘무(無)계파’를 어필했다. 그는 “나는 친문, 비문으로 하지 말고 계보로 보자는 것이었다. 우리 다 친문이라 할 수 있지 않나”라고 말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