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대통합委, 정부 및 지자체와 '국민통합' 협업방안 논의
2013-10-08 엄정애 기자
대통령 소속 국정과제위원회인 국민대통합위원회는 7일 오후 제1차 국민통합정책협의회를 열어 중앙부처 및 지방자치단체와 국민대통합을 위한 협업방안을 논의했다.
이날 회의에는 한광옥 국민대통합위원회 위원장과 박준우 청와대 정무수석을 비롯해 24개 부처 및 17개 시·도의 국민통합정책책임관(실장급) 등 50여명이 참석했다.
한 위원장은 "국민대통합은 세대와 계층, 이념과 지역을 넘어 선진화의 새로운 대한민국을 위한 시대적 과제"라면서 "미국, 영국 등 선진국들도 국민대통합을 국정운영의 핵심의제로 강력하게 추진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각 부처와 시·도가 정책 및 사업을 입안하고 추진할 때 국민대통합적인 고려가 필요하다"며 "위원회도 이러한 관점에서 정부의 정책을 평가하고 조정하는 데 필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회의에서 참석자들은 국민대통합 추진전략 수립, 국민대통합 정책 및 사업조사, '국민통합 미니멈 운동' 전개 등 위원회가 추진 중인 주요과제에 대해 각 부처 및 시·도와의 협업방안을 논의했다.
또 국민대통합 정책과 관련해 교육부는 장애학생 교육여건 확충과 탈북·다문화학생 교육지원, '고른기회 입학전형' 확대를, 안전행정부는 국민대통합을 위한 지역공동체 활성화 추진을 보고했다.
아울러 충청북도는 청원·청주통합 및 충주시 변전소·송전선로를, 경상북도는 도청이전 신도시보상과 덕천리 집단이주단지 조성, 경산 특수학교 설립 등을 갈등극복을 통한 국민대통합 우수사례로 발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