준공업지역 순환정비사업 후보지, 3월 3~4곳 선정

순환정비사업 시범사업지 발굴 차원

2021-01-06     안명옥 기자
▲ 정부세종청사 국토교통부.

정부가 서울의 준공업지역 순환정비사업을 본격화한다. 정부는 3~4곳을 선정한다는 목표를 갖고 오는 7일부터 시범사업 후보지 공모에 들어간다.

국토교통부와 서울특별시는 오는 7일부터 민관합동 준공업지역 순환정비사업 공모를 실시한다고 6일 밝혔다.

이번 공모는 지난해 5월 발표한 ‘수도권 주택공급 기반 강화방안’의 일환으로 민관합동 준공업지역 순환정비사업의 시범사업지를 발굴하기 위한 것이다. 정부는 서울 권역에서 3~4곳 수준의 후보지를 선정할 계획이다.

민관합동 준공업지역 순환정비사업은 준공업지역 내 노후화된 공장부지를 한국토지주택공사(LH)·서울주택공사(SH)의 참여 하에 산업시설과 주거시설이 공존하는 공간으로 탈바꿈해 산업기능을 재생하고, 도심 내 주택공급도 확대하는 사업이다.

LH나 SH가 참여해 공공임대 등 공공시설을 확보하는 경우 부지 내 주택비율 확대, 도시재생과 연계한 사업비 기금융자 등 각종 지원이 이뤄진다.

정부는 또 지난달 공공이 참여한 준공업지역 개발사업에 대해 산업시설 의무비율을 50%에서 40%로 낮추는 내용을 담은 서울시 도시계획조례 개정안을 국회 본회의에서 처리했다.

이번 준공업지역 순환정비 시범사업 후보지 공모 대상은 서울 내 3000㎡ 이상 공장부지이며, 사업 참여를 희망하는 토지주 등은 오는 2월25일까지 서울시에 공모신청서를 제출하여 공모에 참여할 수 있다.

공모참여 부지는 LH와 SH가 사업 추진 적절성을 사전 검토한 후 국토부·서울시 합동 후보지 선정위원회에서 입지 적합성, 시설 노후도, 사업 효과성 등을 종합해 3월 말 후보지로 최종 선정할 계획이다.

국토부와 서울시는 공모기간 동안 사업에 대한 관심을 제고하기 위해, 서울시 자치구 관계자 및 토지주 등을 대상으로 1월 중 정책설명회를 개최할 계획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이번 공모가 낙후된 도심 내 공장지역을 활용해 서울시 내 주택공급을 확대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전망한다”며 “이번 공모를 통해 사업 추진에 적합한 후보지를 최대한 확보할 수 있도록 서울시, LH, SH와 긴밀히 협조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