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외투쟁 '갈래길' 앞 민주당…내일 항로 결정
'전면투쟁이냐, 병행투쟁이냐'…23일 의원총회서 결정될 듯
민주당이 추석 후 장외투쟁 방향을 놓고 고민에 빠졌다.
당내에서는 대통령과 여야 대표의 3자 회담 결렬에 따라 정기국회를 포기하고 투쟁 강도를 높이자는 '전면투쟁론'과 정기국회 참여와 장외투쟁을 병행하자는 '병행투쟁론'이 엇갈리고 있다.
당 지도부는 주말 동안 의원들과 접촉해 추석 지역구 민심을 파악한 뒤 오는 23일로 예정된 의원총회를 거쳐 최종 방침을 정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민주당 의원들은 일단 장외투쟁을 중단하지 않는다는 데에는 공감대를 형성한 것으로 파악된다. 박 대통령이 회담에서 자신들의 핵심 요구인 ▲국정원 사건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대국민 사과 ▲국회 주도의 국정원 개혁 ▲검찰총장 사퇴 압박 의혹 해명 등과 관련, 한 치의 양보도 하지 않았기에 '빈 손'으로 천막을 접을 수는 없다는 것이다.
한 민주당 핵심 당직자는 뉴시스와의 통화에서 "현재로서는 '장외투쟁은 절대 멈추지 말자'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그만큼 격앙돼 있다"며 "회담 결렬 당일 향후 투쟁 방침을 정하지 않은 이유도 의원들이 격앙돼 있어서 자칫 감정적으로 결정이 이뤄질 수 있었기 때문"이라고 당내 분위기를 전했다.
다만 투쟁 방식과 관련해서는 크게 두 갈래로 의견이 나뉜다. 이 가운데 '전면투쟁론'은 3자 회담을 통해 박 대통령이 야당과 타협할 의지가 없다는 것이 확인된 만큼, '강 대 강'으로 나서야 한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해 또 다른 민주당 핵심 관계자는 "전면투쟁을 주장하는 쪽은 회담 이후 인식의 차이를 분명히 확인한 만큼, 강하게 나가야 한다는 것"이라며 "정기국회 일정을 모두 보이콧 한다는 데 대한 부담이 있지만 그걸 안고라도 우리의 목적을 위해 나아가야 한다는 얘기"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전면투쟁은 무리라는 의견도 만만치 않다. 이번 정기국회는 국정감사, 예산결산 등 주요 일정이 집약된 만큼, 보이콧 할 경우 '민생 외면'이라는 역풍에 직면할 수 있다는 것이다.
민주당 장병완 정책위의장은 통화에서 "추석 때 지역구(광주)에서 병행투쟁을 하라는 요구가 많았다"며 "국회를 포기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국정감사와 예산국회는 기본적으로 정부 여당을 견제하는 야당에게 제공되는 장이기에 더더욱 그렇다는 얘기"라고 말했다.
민주당 지도부는 이 같은 '갈림길'에서 어떤 선택을 할 지 고심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당 일각에서는 "김한길 대표가 병행투쟁을 하되, 전국 순회 투쟁으로 강도를 높이는 방안도 검토 중"이라는 말도 나온다.
김 대표와 전병헌 원내대표는 21일 오전 서울시청 앞 천막당사에서 당 의원들과 만나 각 지역구에서 파악한 추석 민심을 청취했다. 이 자리에서 김 대표는 여론조사 자료를 의원들에게 소개하기도 했다.
김 대표는 이날 뉴시스 기자와 만나 장외투쟁 방향에 대해 "의견을 다 들어봐야 한다. 아직 정해진 게 없다"며 "(장외투쟁으로) 몸이 좀 힘들긴 하지만 나라가 처한 상황과 비교할 바는 아니다"라고 말했다.
김 대표와 전 원내대표는 22일 추석민심 보고 간담회와 비공개 최고위원회의를 열어 당내 의견을 청취한 뒤 23일 의원총회에 참석할 계획으로 알려졌다. 민주당 관계자는 "23일 의원총회가 장외투쟁 방향을 결정짓는 분수령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