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토 없이도 농업 진입 가능해진다…2040세대가 희망”
농식품부 장관, 27일 국회 농해수위 업무보고서 밝혀
김현수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27일 “농업의 발전 가능성을 보고 농업을 선택하는 2040세대가 우리 농업의 희망”이라며 “농지은행의 농지 공급을 확대하고 심층 창업 컨설팅을 지원해 청년들이 땅이나 경험 없이도 농업에 진입할 수 있도록 돕겠다”고 밝혔다.
김 장관은 이날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업무보고에서 올해 농식품부의 주요 정책 과제에 대해 이같이 말했다.
그는 이와 함께 은퇴한 베이비붐 세대와 관련해 “도시농협 주도의 교육과 농촌생활 체험프로그램을 지원하고 농촌 생활 사회간접자본(SOC)와 의료·돌봄 등 필수 서비스를 확충해 귀농·귀촌을 촉진하겠다”며 “농업·농촌의 공동체 복원과 지역 고유자원을 활용한 관광 활성화로 일자리 창출도 추진하겠다”고 했다.
농산물 가격 급등락을 최소화하겠다고도 밝혔다.
김 장관은 “의무자조금단체가 자율적인 수급조절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고 정부는 정확한 관측정보 제공과 자조금 매칭으로 지원하는 체계를 만들겠다”며 “온라인 거래 등 도매시장 이외의 유통 경로 간 경쟁을 유도해 물류를 효율화하고 가격변동의 위험도 분산시키겠다”고 언급했다.
올해 도입된 공익직불제는 조기 안착에 주력한다는 계획이다. 김 장관은 “공익직불금이 실제 농사를 짓는 농업인들에게 돌아가도록 10월까지 자격 검증 등을 마치고 연내 지급 완료할 계획”이라며 “운영 과정상 문제에 대해서는 충분히 자료를 축적해 개선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응과 관련, 식량 안보에 대해서는 “밀과 콩의 국내 적정 자급기반을 확보하고 교역 여건 악화에 대비해 국내 비축도 확대하겠다”고 전했다.
이어 “유통과 소비 트렌드 변화에 대비해 농축산물 생산에 빅데이터와 인공지능(AI) 활용을 확대하고 농축산물 유통도 온라인 기반 비대면 방식으로 발전시켜 나가겠다”며 “농촌 지역의 디지털 인프라도 확충해 도농간 디지털 격차를 최소화하겠다”고 강조했다.
그 밖에도 코로나19 이후 ‘저밀도 사회’로의 전환에 대비해 농촌의 열악한 주거 여건과 생활 인프라 부족, 난개발 등 문제를 개선하는 농촌 프로그램을 만들겠다고 김 장관은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