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여파’로 100대 기업‚ 해외서 매출 10% 줄어
2분기 해외매출도 전분기 대비 10% 이상 감소 전망
삼성전자, 현대차, LG전자, SK하이닉스 등 매출 상위 100대 기업의 올해 1분기 해외매출이 지난 4분기 대비 10.4%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9일 전국경제인연합회는 매출액 상위 100대 기업(2019년 기준)이 5월 중순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신고한 올 1분기 연결기준 매출 공시자료를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지난해 회복세를 보이던 100대 기업의 해외 매출이 올 1분기 감소세로 돌아선 결정적 요인은 코로나19 확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12월 중국 우한에서 발생한 코로나19가 중국 전역으로 확대되고, 2월 중국 정부가 취한 14개 주요 성‧시 봉쇄 조치로 인해 한국 기업의 중국 법인, 현지공장의 정상적 영업‧생산이 한 달 가까이 멈췄기 때문이다.
업종별로는 금융‧보험업을 제외한 모든 업종의 해외매출이 감소했다.
해외생산 비중이 약 70%에 달하는 자동차가 14.3%, 휴대폰‧TV 해외생산비중이 90%를 상회하는 전기‧전자는 9% 감소했다.
100대 기업 중 지역별 해외매출 실적을 발표하고 있는 상위 20대 기업의 대륙별 매출실적을 분석한 결과, 1월부터 코로나19 영향을 가장 먼저 받은 중국‧아시아 지역은 11.8% 감소했고, 코로나19와 관계없이 경기부진이 이어지고 있는 유럽지역은 13%, 미주지역은 5.4% 각각 줄어들었다.
100대 기업 중 중국 매출을 별도로 공개하고 있는 ‘상위 빅5’ 기업인 삼성전자, 현대차, LG전자, SK하이닉스, 현대모비스의 1분기 중국 매출은 2019년 4분기 대비 24.6% 줄었다.
이 가운데 반도체 단일품목 중심의 SK하이닉스만 중국 매출이 7.9% 증가한 반면, 삼성전자는 14.9%, 현대차 중국 합작법인은 70% 각각 감소했다.
김봉만 전경련 국제협력실장은 “100대 기업의 2분기 해외매출은 올 1분기 대비 10% 이상 감소할 것”이라며 “4~5월 수출이 전년 동월대비 2개월 연속 20% 이상 감소했고, 중국을 제외한 미국, 유럽의 제조업 경기 회복이 더딘 가운데 기업실적 모니터링 기관이 10대 기업 2분기 매출의 경우 올 1분기 대비 9.3%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김 실장은 2분기에도 기업의 해외비즈니스 여건 개선이 힘든 만큼, 정부가 5월부터 시행 중인 한국 기업인의 ‘중국 방문 시 패스트트랙’ 특별 방역절차가 주요 교역대상국으로 조속히 확대 시행되도록 노력해 줄 것을 요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