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대통령, 국회 연설 막바지 점검
20대 국회에 답답함 토로…국난 극복 '협치' 강조할 듯 21대 국회에 '한국판 뉴딜' 국가 비전도 상세 설명할 듯
더불어민주당과 미래통합당이 21대 국회 원 구성 협상을 두고 팽팽한 줄다리기를 하고 있는 가운데, 문재인 대통령은 국회 일정이 합의되면 언제든지 연설대에 오를 수 있도록 개원 연설 마지막 점검을 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문 대통령은 오는 8일 수석·보좌관회의를 주재할 예정이다. 그러나 7일 오후 5시 예정된 원 구성 협상이 타결되고 국회 일정이 나오면 유동적으로 대통령의 일정들이 조정될 수 있다는 게 청와대의 설명이다.
문 대통령의 이번 개원 연설 키워드는 '협치'와 '뉴딜'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새 국회가 출범하는 것을 축하하고 성공적인 국정운영을 위해 여야에 협치를 당부하는 한편, 집권 후반기 새 국정 비전으로 제시한 '한국판 뉴딜'에 대한 언급이 있을 것으로 알려졌다.
문 대통령은 그동안 20대 국회에서 뜻을 이루지 못했던 협치에 대해 아쉬움을 줄곧 토로해 왔다. 여야정 국정상설협의체가 2018년 11월 첫 출범했지만 한 차례 회동을 끝으로 '임시 휴업' 상태에 들어갔다.
지난달 28일 양당 원내대표에게 "국회가 제 때에 열리고, 법안이 제 때에 처리되면 제가 업어드리겠다"고 말한 것도 20대 국회의 상황에 대한 답답함과 동시에 그만큼 법안 처리에 대한 간절함이 반영된 것이었다.
이에 따라 21대 국회에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국난 극복 상황에서 한마음 한뜻이 돼 달라는 당부 메시지를 발신할 것으로 예상된다.
아울러 집권 후반기 국정 키워드로 제시한 '선도 국가'로 나아가기 위한 국회 차원의 뒷받침도 당부할 것으로 알려졌다.
문 대통령은 여러 차례 '한국판 뉴딜'의 의미와 방향성을 밝혀왔다.
선도 국가로 나아가기 위한 새로운 국가 발전 전략으로서, '디지털 뉴딜'과 '그린 뉴딜' 두 축을 기반으로 선도형 경제로 만들겠다는 게 문 대통령의 구상이다. 아울러 고용안전망 확충이라는 디딤돌을 통해 사람 중심의 포용 국가로 나아가겠다는 의지도 담겼다.
21대 새 배지를 단 국회의원들에게 이러한 청와대와 정부의 구상을 전하고, 초당적 협력을 당부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국회 여야 협상 결과에 따라 상황이 유동적인 만큼, 언제라도 연설에 나설 수 있도록 만반의 준비를 다하겠다는 게 청와대의 입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