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윤모 산업부 장관 “‘K-방역‧K-바이오’ 육성”
‘제4차 포스트 코로나 산업전략 대화’서 모두발언 통해 밝혀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19일 “글로벌 시장 침체상황에서도 바이오헬스 분야 수출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키트 등의 수요 확대로 크게 증가했다”며 “바이오헬스 산업이 우리 경제의 새로운 버팀목이 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성 장관은 이날 인천경제자유구역청에서 열린 ‘제4차 포스트 코로나 산업전략 대화’를 주재하면서 모두발언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이번 ‘4차 산업전략 대화’는 바이오 선도 국가로 도약하기 위한 전략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행사장에는 삼성바이오로직스, 셀트리온 등 관련 기업 최고경영자(CEO) 등이 참석했다.
성 장관은 “정부는 코로나19 치료제‧백신 개발 지원, K-방역 국제표준화 등을 통해 K-바이오 브랜드 가치를 확산시키겠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기업 눈높이에 맞는 규제 개선을 통해 신시장을 창출하겠다”며 “원‧부자재와 장비의 국산화 지원, 바이오 공정 인력 양성 센터 설립, 바이오 클러스터 고도화 등을 통해 혁신 생태계를 조성하겠다”고 전했다.
경제자유구역이 K-바이오 육성의 전진기지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는 견해도 나왔다.
성 장관은 “인천‧충북‧대구경북 경제자유구역에는 이미 바이오 클러스터 기반이 구축돼있어 K-바이오 활성화에 큰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은 현재 28만평인 부지를 60만평까지 늘려 원‧부자재 공급 기업, 연구개발 기업 등을 중점 유치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또한 오는 2030년까지 입주기업은 60개에서 700개로, 고용 규모는 5000명에서 2만명까지 확대하겠다는 목표도 제시했다.
이 기간 누적 투자와 매출액은 각각 15조원, 10조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충북경제자유구역청은 2030년까지 현재 422개인 바이오 스타트업을 1000개까지 늘릴 계획이다.
같은기간 생산규모와 인력 양성 목표치는 각각 7조원, 5만명이다.
이날 바이오업계는 정부에 기업 맞춤형 전문인력을 양성할 수 있는 센터 건립을 건의했다.
국내‧외 바이오 시장은 빠른 속도로 성장하는데 전문 인력 공급은 부족하다는 이유에서다.
이들은 바이오 산업의 특성상 규제가 많아 시장 개척이 어렵다는 점을 지적하면서 새로운 시장 창출을 위해서는 규제 완화가 필수라고 입을 모았다.
아울러 코로나19로 위축된 투자를 늘리기 위해서는 세제 혜택 등 인센티브가 필요하다고 요구했다.
산업부는 이번 간담회에서 논의한 내용을 관계부처와 협의하고 바이오산업 관련 정책 수립 시 반영한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