野, 윤미향 손절 못하는 민주당에 강공 "與 사과해야"

통합당, 국조 추진 검토…"국민 분노 짚고 넘어가야" 원유철 "與, 진영논리 감싸선 안돼" 국민의당 "與,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조치 취하라"

2020-05-19     이교엽 기자
▲ 미래한국당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는 원유철 한국당 대표.

미래통합당과 미래한국당이 19일 각종 비위 의혹이 불거진 정의기억연대(정의연) 이사장 출신 윤미향 더불어민주당 당선인을 향해 "캐도 캐도 고구마 줄기처럼 이어진다"고 질타하며 공세를 이어갔다. 윤 당선인에 대해 명확한 입장을 밝히지 않는 여당을 향해서도 "지금이라도 국민께 사과하고 윤 당선인을 제명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전날 윤 당선인의 쉼터 매매과정 및 회계 부정 등 의혹을 지적하며 "의원자격 없다", "철저히 수사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던 통합당은 결국 국정조사를 추진하는 방안을 검토키로 했다.

통합당 관계자는 윤 당선인 의혹과 관련 "국민적인 분노가 큰 상황"이라며 "미래통합당이 적어도 이 문제에 대해서 방기하지 않고 국민들이 의혹을 가지는 부분, 분노하는 부분을 짚고 넘어가겠다는 취지에서 추진하게 됐다"고 밝혔다.

통합당 배현진 원내대변인도 국정조사에 대해 "미래통합당이 이번 사안에 대해 국민적 분노와 심각성을 인지하고 21대 국회에서 놓치지 않고 해나가겠다는 의지 표명"이라고 밝혔다.

통합당의 비례대표 위성정당인 미래한국당도 '윤미향-정의연 의혹 진상규명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당 차원에서 대응하기로 했다. TF에는 윤주경, 조태용, 전주혜 당선인 등이 참여하며 통합당과 공동으로 TF를 운영하는 방안도 검토하기로 했다.

원유철 미래한국당 대표는 "정의연 관련 의혹이 캐도 캐도 고구마 줄기처럼 이어지면서 국민들의 논란이 심화된다"며 "윤 당선인은 지난 30년간 위안부 피해자를 위해 일한 공적과 별개로, 당사자인 피해자 할머니들의 비판을 받는 지경에 이른 것을 되돌아보고 반성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도덕성과 투명성을 지키는 노력과 결단을 보여줘야 한다. 시민운동 활동가가 아니고 국회의원인 만큼 무거운 공적 책임을 느껴야 하고, 관할 당국은 모든 의혹에 대해 철저히 규명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그러면서 "진영 논리로 감싸기만 해선 안 된다. 진상규명과 책임에서 자유롭지 않다"며 "친일 프레임으로 국민을 호도한 것을 사과하고 의혹을 밝히는 데 앞장서야 된다"고 촉구했다.

윤 당선인의 도덕성을 꼬집고 여당의 책임 있는 태도와 진상 조사를 촉구하기도 했다.

통합당 황규환 부대변인은 논평을 통해 "이용수 할머니가 처음 기자회견을 하고 불과 12일이 지났지만, 그동안 제기된 의혹들은 셀 수가 없을 정도"라며 "최초, 정의연의 기부금 사용내역, 윤 당선자의 위안부 합의 인지시점, 윤 당선자의 지원금 지급개입 여부에서 시작되었던 논란은 어느새 '공금횡령', '배임', '총체적 부실회계'라는 단어가 곳곳에서 등장하는 지경에 이르렀다"고 개탄했다.

이어 "부(不)정의에 온 국민이 분노하고 있다"며 "이념의 문제도, 정치의 영역도 아니다. 하지만 오늘 더불어민주당 최고위는 여전히 침묵했다"고 지적했다.

통합당 장능인 상근부대변인도 언론에 보도된 정의연의 회계 관련 의혹을 지적하며 "윤미향 당선인은 회계 조작과 업무상 횡령 의혹에 대한 진실을 밝히고 즉각 당선인 신분을 반납하기 바란다"고 촉구했다.

이익선 미래한국당 대변인은 논평에서 "상황이 이쯤 되니 윤미향 당선인을 감싸안던 민주당의 분위기가 바뀌고 있다. 만시지탄이나 지금이라도 바로 잡는 용기를 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집권 여당은 윤미향 사태를 바로 잡음으로써 정의가 무엇인지 보여주기 바란다"며 "철저한 진상조사를 통해 국민 앞에 진실을 밝히고 도저히 국회의원이 될 수 없는 윤미향 당선인을 즉시 제명해야 한다"고 말했다.

국민의당 안혜진 대변인도 "변명을 반복하며 버틴다고 거짓이 진실이 될 수는 없다. 윤 당선인의 지금과 같은 행태는 피해자를 향한 진실한 사과 한마디 없이 역사를 왜곡하며 버티고 있는 일본 정부와 다를 바 없다"며 "아직도 친일세력 운운하며 수수방관하고 있는 여당은 더 이상 국민적 공분을 키우지 말고 진상조사에 착수하고 정의와 공정,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조치를 취할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고 비판했다.

이 외에도 하태경 의원은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이용수 할머니의 기억이 아니라 윤미향의 기억이 문제"라며 "민주당 16인의 호위무사들은 이 할머니와 국민 앞에 사과해야 한다"고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