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산그룹 “3조 유동성 확보할 것”…우량 자회사 더 파나
‘3조+α’ 자구안 제출 “팔 수 있는 건 다 팔겠다”
두산그룹이 자체적으로 3조원의 유동성을 마련하겠다는 내용의 자구안을 채권단에 제출하며 매각 대상에 관심이 모아진다.
유상증자, 오너 일가 사재출연 등 가능한 모든 방법을 동원하겠다는 계획이지만 예상보다 자금 규모가 커 두산솔루스 외에 알짜 계열사가 추가 매물로 나오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제기된다.
1일 두산그룹이 지난달 27일 제출한 자구안을 살펴보면 그룹은 두산중공업 유상증자와 자산 매각, 대주주 사재 출연 등으로 자금을 조달하겠다고 밝혔다.
구체적인 자산 매각 대상은 공개하지 않았지만 양대 우량 자회사인 두산솔루스, 두산퓨얼셀 외에 두산건설과 두산메카텍, 두산 산업용차량·전자부문 등이 매물로 거론되고 있다.
알짜 계열사인 두산솔루스는 이미 시장에 매물로 나와 있다.
두산그룹의 지주사인 (주)두산과 오너 일가의 두산솔루스 지분은 61%다.
지난달 중형 사모펀드인 스카이레이크인베스트먼트에 매각을 추진했지만 막판에 무산돼 공개매각으로 전환한 상태다.
(주)두산은 두산솔루스 몸값이 8000억원 이상일 것으로 기대한다.
‘비핵심 자산 매각’은 다수의 매물이 예상된다.
두산중공업에서는 100% 자회사인 두산건설을 비롯해 화공플랜트 자회사인 두산메카텍, 수처리 플랜트 사업부문 등이, (주)두산에서는 모트롤(유압기기)과 산업차량(지게차) 사업부 등이 점쳐진다.
지난해 말부터 매수자를 찾고 있는 두산건설은 중견 건설회사에서 인수를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두산그룹 계열사들의 부동산도 매각 대상이다.
(주)두산이 보유하고 있는 서울 동대문 두산타워와 강원 춘천에서 운영하는 골프장 라데나CC 등이 잠재 매물로 꼽힌다.
일각에서는 그룹 내 핵심 계열사인 두산인프라코어‧두산밥캣 매각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분석도 나온다.
두산솔루스와 두산퓨얼셀 등 매각이 확정된 계열사가 비싼 가격에 팔리지 않으면 충분한 유동성을 확보하기 어렵다는 지적이다.
다만 비핵심 계열사 매물이 여럿 있어 실제 매물로 나올지는 미지수라는 시각이 우세하다.
그룹은 우선적으로 지배구조 재편을 염두에 두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룹 중간지주사 역할을 하고 있는 두산중공업의 위기가 그룹 전체로 확산하는 것을 막기 위해서다.
두산중공업을 자회사‧손자회사인 두산인프라코어·두산밥캣과 분리하는 방안이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다.
수익이 나는 두산인프라코어와 밥캣만이라도 두산중공업과 분리해야 한다는 게 채권단 방침이다.
두산그룹 지배구조는 그룹 지주회사인 (주)두산을 정점으로 두산중공업→두산인프라코어→밥캣으로 이어진다.
두산중공업을 사업회사와 투자회사로 분리한 뒤 두산중공업이 가지고 있던 두산인프라코어와 밥캣 지분을 투자회사에 몰아주고, (주)두산과 투자회사를 합병하는 시나리오다.
두산그룹 측은 “증자, 자산매각 등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은 추후 이사회 등 절차를 거쳐 결정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