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대통령 "하나의 일자리도 반드시 지키겠다"
'코로나 극복 기업' 격려 나서
문재인 대통령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위기 상황 극복을 위해 앞장서고 있는 기업 현장을 찾으며 격려 행보를 소화하고 있다.
29일 노·사 상생 협력으로 고용 유지를 위해 애쓰고 있는 호텔 업계 관계자들과의 간담회를 연 것도 격려의 의미와 함께 이같은 상생의 분위기가 모든 사업장에 확산됐으면 하는 기대가 담겼다.
코로나19와 관련한 격려 차원의 현장 방문은 지난 1일 생산 차질 최소화를 통해 고용 유지를 이어가는 코오롱인더스트리를 찾은 뒤 28일 만이다. '선거와의 거리 두기' 차원으로 총선 때까지는 현장 행보를 자제해왔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전 서울 광진구에 위치한 워커힐호텔을 찾아 '코로나19극복 고용유지 현장 간담회'에 참석했다. 이번 간담회는 코로나19 직격탄을 맞은 주요 호텔업종 노사 대표와 근로자들이 참석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
급격히 쪼그라든 내수로 위기에 직면한 관광 숙박 업계 관계자들을 만나 정부 차원의 의지를 강조한 것도 코로나19 위기에도 '고용 유지'를 이어가 달라는 메시지로도 볼 수 있다.
코로나19로 촉발된 경제 위기는 세계금융위기 때와는 분명히 다르다는 게 문 대통령의 생각이다. 당시에는 구조조정을 통한 노동시장 유연화로 위기 극복에 나섰다면, 이번에는 오히려 고용 유지를 하는 것이 위기 극복의 전제라고 보고 있다.
지난 26일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이번 위기가 우리 경제의 내부적인 문제가 아닌, 코로나19라는 감염병으로부터 비롯된 것이고 상당히 외부적 요인에 의한 충격"이라며 "위기 극복의 전제 조건은 무엇보다도 고용을 유지하는 것"이라고 말한 것도 같은 연장선상에 있다고 볼 수 있다.
고용유지를 위해 앞장서고 있는 현장을 찾는 것도 이같은 상생 협력이 호텔 업계를 넘어 전 업종으로 확산되도록 촉진하기 위한 차원에서다.
청와대 관계자는 "연대와 협력으로 위기 극복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노사를 격려하고 기업의 고용유지를 당부하는 한편, 정부의 우선 지원 의지도 강조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호텔업계의 경우 가장 어려운 시기에 노·사는 상생 협약을 통해 고용을 유지키로 했다.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노·사 공동협약'에 따르면 사측은 무급휴직이나 연차휴가를 강제하지 않고 휴업으로 일자리를 보전키로 했다. 또 노조는 노동쟁의 대신 협력적 노·사관계에 합의했다.
솔선수범으로 일자리 지키기에 나서는 업계들을 위해 문 대통령은 정부 차원의 의지를 강력히 피력했다.
문 대통령은 "일자리 위기’가 거세게 닥쳐오고 있지만, 정부는 하나의 일자리도 반드시 지키겠다는 그런 각오로 여러분과 함께할 것"이라고 다짐했다.
그러면서 "이달에는 추가로 고용과 기업안정 대책을 마련하여, 고용안정에 10조 원, 일자리를 지키기 위한 기업 안정에 75조 원의 자금을 지원하기로 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