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업계 “2분기까지 수주절벽 우려”…성윤모 산업부 장관 “추가 지원 검토”
코로나19 대한 조선업계 대응방안 논의
국내 조선업계가 코로나19 사태 장기화로 유동성 등에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며 정부에 추가 지원을 호소했다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27일 주요 조선사, 기자재업계 대표들과 간담회를 가지고 코로나19에 대한 조선업계 대응방안을 논의했다.
이날 회동에는 이성근 대우조선해양 사장, 가삼현 한국조선해양 사장, 남준우 삼성중공업 사장, 이병철 한국조선해양플랜트협회 부회장, 강호일 한국조선해양기자재조합 이사장, 신종계 서울대 교수 등이 참여했다.
조선업계는 이날 “코로나19가 전세계로 확산되면서 전세계 선박 발주가 급감하는 등 조선업계에 대한 영향이 가시화되고 있다”며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될 시 수요, 생산, 유동성 등의 측면에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호소했다.
이성근 대우조선해양 사장은 이날 기자들과 만나 “세계경제 불확실성 확대로 발주 연기 및 취소되고 1분기 세계 발주량이 70% 이상 감소됐다”며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여파로 조선업계도 2분기까지 수주 절벽의 어려움에 직면할 것이다”고 진단했다.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올해 1분기 누계 선박발주량은 전년 동기 대비 71% 감소한 233만CGT에 그쳤다.
2018년(1천83만CGT)이후 3년 연속 내리막길을 걷고 있다.
국내 조선업계의 주력선종인 대형 LNG운반선(14만㎥ 이상)은 지난해 1분기 14척이 발주됐지만, 올해는 아직까지 발주가 없는 상황이다.
조선사들은 제작금융 등 지원 확대, 선박 인도금 담보부 운영자금 대출 지원 등을 요청했다.
기자재사들은 제작금융 만기를 연장하고, 운전자금 공급을 확대해 달라고 호소했다.
또한 선수금 환급보증(RG) 한도를 확대하고 신속하게 발급해줄 것과 외국 기술전문인력 입국절차 간소화, 조선기자재 수출 해외거점기지 확대 등을 요청했다.
제작금융은 만드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리는 선박이나 해양플랜트 등의 대금을 받을 때까지 제작에 필요한 자금을 대출하는 제도다.
RG는 선주가 선박 건조 계약 때 조선사에 준 선수금을 금융사가 지급 보증하는 것이다.
산업부는 조선업계를 위한 대응방안을 추가로 검토하고, 비상경제중앙대책본부 내 산업‧위기대응반을 통해 소통을 강화하겠다는 계획이다.
성윤모 장관은 “다행히도 조선사별로 1~2년치 일감을 확보하고 있고, 조선업계가 코로나19에 잘 대응해 생산차질도 발생하지 않았다”며 “코로나19가 장기화되고 전세계적인 불황이 심화되면 지난 2016년보다 더한 수주절벽을 겪을 수도 있다. 추가 지원대책을 검토하겠다”고 언급했다.
앞서 정부는 지난 23일 5차 위기관리대책회의를 통해 조선산업에 대해 제작금융 등 약 8조원을 공급하고, RG발급 규모도 유지하는 내용의 대책을 확정했다.
조선업에 대해 특별고용업종 지정 연장을 검토하기로 했고, 부품‧기자재업체들에 대해서는 납품계약서를 근거로 제작비용 지원을 확대하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