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50대 중산층, 은퇴 후 저소득층 전락 우려"
생활고 피하려면 미리 소비 및 부채 축소해야
은퇴 예비세대인 40~50대 중산층 가구는 세대주가 은퇴하면 즉시 저소득층으로 전락할 가능성이 높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이들이 생활고를 피하려면 미리 소비 및 부채를 축소해야 할 것으로 지적됐다.
미래에셋은퇴연구소는 7일 '4050 중산층 가계수지의 빛과 그림자'라는 보고서를 발간해 "이들 가구의 가계수지는 지난 13년간 표면적으로 개선됐지만, 그 이면에는 저소득층으로 전락할 요인을 안고 있다"고 밝혔다.
은퇴연구소에 따르면 지난 2000년부터 지난해까지 40~50대 중산층 가구의 월 소득은 219만원에서 388만원으로 77% 증가했다. 저축금액도 26만원에서 61만원으로 134%나 껑충 뛰었다.
같은 기간 이들 세대의 월 소비지출은 155만원에서 248만원으로 60% 상승했다. 은퇴연구소는 "소비 증가율이 소득 증가율보다 낮아 가계수지가 개선된 것같은 '착시효과'를 일으킬 수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오히려 가구원 1인당 소비지출은 41만원에서 74만원으로 79% 늘어 소득 증가율(77%)을 웃돌았다.
특히 교육·외식·주거·교통·통신 등 5개 분야가 전체 소비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3년간 꾸준히 증가했다. 1인당 자녀교육비는 3배, 외식비는 2배, 주거비는 1.7배, 자동차 유지비는 2배, 이동통신요금은 2.4배 늘어났다.
부채 문제도 가계수지를 위협하는 복병으로 꼽혔다. 부채가 있는 가구의 월평균 원리금 부담액은 2000년 9만7000원에서 지난해 30만2000원으로 3배 이상 증가했다. 또 전체 가구의 17%가 부채 원리금의 80%를 부담해야 하는 '쏠림현상'도 나타났다.
김경록 소장은 "은퇴시점까지 부채를 청산하지 못할 경우 지속적인 원리금 상환은 근로·사업소득이 급감하는 은퇴 후에 큰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김 소장은 "40~50대 중산층 가구가 평안한 노후를 맞기 위해선 삶의 다운사이징(downsizing)과 소비구조 개선을 통해 '소비의 장벽'과 '부채의 장벽'을 넘어서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