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한미군 韓직원 “해고될까 파업 못해”
노동3권 인정 안돼 단체행동 시 해고 가능성 있어
한미 방위비 분담금 협상 지연으로 강제 무급휴직 대상이 되는 한국인 직원 명단이 이르면 25일 통보된다.
직원 9000여명은 혹시나 자신이 명단에 포함될까 마음을 졸이면서 사태 추이를 지켜보고 있다.
24일 주한미군 사령부와 주한미군 한국인 노동조합 등에 따르면 사령부는 25~26일께 무급휴직 대상 한국인 직원 명단을 확정하고 개별 통보한다.
방위비 협상이 타결되지 않아 한국인 직원들에게 줄 임금이 없다는 게 이유다. 통보를 받은 직원들은 다음달 1일부터 강제로 무급휴직에 들어간다.
당초 사령부는 23일께 명단을 통보하려 했지만 일정이 며칠 늦춰졌다. 한국인 노조가 20일 주한 미국 대사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무급휴직에 항의한 것이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실제로 사령부는 기자회견 후 노조에 ‘필수인원을 늘리고 무급휴직 인원을 다소 줄이겠다’는 의사를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무급휴직 인원이 줄어든다는 소식에도 직원들의 불안감은 잦아들지 않고 있다.
필수인원으로 지정돼 미군 기지에서 계속 일하게 될 인원과 필수인원에서 빠져 무급휴직하게 될 인원 간 노노갈등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일부 한국인 직원은 미국 정부와 주한미군 사령부에 저항하기 위해 단체로 출근을 거부하자는 주장을 하지만 이는 위험한 선택이다. 주한미군 한국인 직원에게는 노동3권이 보장되지 않아 파업할 권리가 없기 때문이다.
이처럼 상황이 좋지 않다보니 한국인 노조는 비교적 낮은 수위의 저항을 택할 수 밖에 없었다.
노조 집행부는 항의 방문, 출입구 시위, 출근 투쟁 등 계획을 마련했지만 미 정부와 미군 사령부를 얼마나 압박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한국인 노조는 25일 청와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미 정부의 태도 변화를 촉구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