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전히 갈 곳 없는 새보수 출신 당직자들…"자발적 사직 강요"

"합당하고 4주 넘게 옛 새보수 당사에 잔여" "비논리적 이유 들어 희망퇴직·보상금만 얘기"

2020-03-15     이교엽 기자
▲ 불출마 선언후 국회 나서는 유승민 보수재건위원장.

전 자유한국당과 새로운보수당 등이 신설 합당된 미래통합당의 당직자 고용 승계 문제가 여전히 해결되지 않아 불협화음을 내고 있다.
 
통합 이전 새보수당 소속으로 근무했던 통합당 사무처 당직자들은 15일 성명서를 내고 "당직자들은 합당일로부터 4주 넘게 인사 명령이나 업무 지시를 받지 못한 채 여전히 구(舊) 새보수당 당사 사무실에 잔여하고 있다"면서 "반면 구 자유한국당 당직자들은 신설 합당과 동시에 합당 전 정당 업무를 그대로 수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들은 "미래통합당 총무국은 '내부적으로 분위기가 좋지 않다' 등 비논리적 이유를 들며 희망 퇴직, 보상금만을 얘기했다"며 "사실상 자발적 사직을 강요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존경하는 황교안 당대표, 박완수 사무총장, 송언석 전략기획부총장께 건의한다"며 "정상적인 근로계약을 체결한 사무처 당직자들의 고용 승계 문제를 바로잡아 조속한 시일 내 인사 발령을 내줄 것을 요청한다"고 호소했다.
 
앞서 지난 2월 유승민 전 새로운보수당 의원이 총선 불출마를 선언하며 무급으로 일해 온 중앙당·시도당 젊은 당직자들의 고용 승계를 부탁한 바 있다. 그러나 당직자 10여명 가운데 계약직 형태로 사무처에 채용된 인원 외에 나머지는 통합당에 합류하지 못했다.
 
이에 통합당 사무처 노동조합도 입장문을 내고 "노조는 당 대표의 통합 결단을 뒷받침하는 차원에서 어려운 당 재정난에도 불구하고 새보수 자원봉사자들의 일부 계약을 수용했다"고 반박했다.
 
이어 "새보수 자원봉사자들에 대해 근로계약서의 존재 여부, 손학규 대표 당비 납부 내역 언론 공개 사태 등 각종 의혹도 제기되고 있다"며 "정당한 공개 채용 절차 없이 정치인들의 사적 부탁에 의해 사람을 고용하는 자체가 특혜 채용 아니겠는가?"라고 맞섰다.
 
그러면서 "총선을 앞두고 중차대한 시점에서 노조는 더 이상 이 사안에 대해 재론하지 않겠다. 추가 논의도 없다"고 못박으며 "더 이상 막다른 골목으로 내몰지 말아달라"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