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당 "정치개혁연합 선거 연대 제안 거절"

"연동형 비례제 취지 무색하게 해…깊은 유감"

2020-03-02     박경순 기자
▲ 발언하는 윤소하 원내대표.

정의당은 2일 주권자전국회의를 포함한 시민단체들이 모여 창당 예정인 '정치개혁연합(가칭)'의 선거 연합 제안에 대해 "동의할 수 없다"며 비례용 위성정당 창당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정의당 강민진 대변인은 이날 오후 현안 브리핑을 내고 "정치개혁연합에서 선거연합 창당 제안이 있었다. 비례용 선거연합정당을 만들어 선거 후 당선자들은 본래 소속된 정당으로 되돌려 보내자는 제안이었다"며 "정의당은 이런 제안에 동의할 수 없음을 말씀드린다"고 밝혔다.

강 대변인은 "위헌꼼수정당 미래한국당은 해산해야 한다. 꼼수에 똑같은 꼼수로 대응하겠다는 소위 '비례민주당' 기획은 아무런 명분이 없다"며 "연합체 형태의 '비례용 임시가설정당'을 세우자는 제안 역시 마찬가지"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정치개혁연합 제안에 동참한 시민사회단체와 원로 분들은 정치개혁과 준연동형비례제 도입을 위해 함께 힘 써오신 분"이라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연동형 비례대표제도의 취지를 무색하게 만드는 계획이 제안된 것에 대해 깊은 유감을 표한다. 비례용 하청정당을 방지하기 위한 제도가 불비하다는 이유로 연동형 비례제라는 제도 자체를 훼손할 수는 없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그는 "지금 필요한 것은 미래통합당의 꼼수정치에 정면으로 맞서고, 진보개혁진영의 더 큰 승리를 위해 정당정치의 기본으로 돌아가는 것"이라며 "꼼수에 꼼수로 맞서는 대응방식은 저들의 파렴치한 행태에 면죄부만 주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진보 원로가 주축인 주권자전국회의는 지난달 28일 미래한국당 저지를 주창하며 선거연합 정당을 제안했다.

정치개혁연합은 진보 원로들 주도로 비례대표 정당을 창당하고 민주당, 정의당, 녹색당, 미래당 등 범여권·진보 정당들이 자당 비례대표 후보들을 파견시켜 총선을 치른 후 당선된 후보들이 각자 소속당으로 복귀하는 모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