安 “지역구 후보 안 내고 비례 선출 집중”
반문연대 참여 뜻 밝히며 ‘선거 연대’ 선택한 듯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가 4·15 총선에서 비례정당으로 선거를 치른다고 선언한 가운데, 국민의당이 총선에서 성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전망과 결국 보수 통합 수순을 밟을 것이란 전망이 엇갈리고 있다.
안 대표는 지난달 28일 기자회견을 열고 4·15 총선에서 지역구 후보를 내지 않고 비례대표 비례대표 선출을 위한 정당 투표 대결에 집중하겠다고 선언했다.
이에 대해 안 대표가 사실상 반문(문재인) 연대에 함께 하겠단 뜻을 밝히며 ‘야권 선거 연대’란 현실적인 판단을 내렸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박상헌 정치평론가는 “안 대표가 귀국하고 지내며 문재인 정권에 대한 국민적 분노가 생각보다 크단 것을 확인한 것 같다”며 “총선 구도가 문재인 심판으로 갈 수밖에 없으니 지난번 선거에 비해 안 대표가 쓸 공간, 제3지대가 없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국민의당이 ‘비례정당’으로 총선에서 성과를 낼지에 대해선 전망이 엇갈린다.
김만흠 한국정치아카데미 원장은 “이미 안 대표가 총선에서 문재인 정권 심판을 강조해왔던 만큼 비례 후보만을 냈을 때 국민들로부터 더 주목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다른 보수 진영과 지역구에서 ‘문재인 정권 심판’이란 비슷한 목소리를 내면서도 경쟁 구도를 갖기보다, 반문연대를 수용하고 비례후보에만 집중하면 더욱 주목도가 높아질 것이란 예상이다.
반면 결국 국민의당이 보수통합의 길로 갈 것이란 분석들도 적지 않다.
신율 명지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안 대표는 지금 방법이 없다. 예전에는 호남 지역 기반이 있었지만 지금은 그렇지 않고 새 정치도 유통기한이 끝났고 현재 중도가 설 땅이 없다”며 상황이 녹록지 않다고 분석했다.
안 대표의 행보에 국민들이 공감하지 못할 것이란 비판도 나온다.
박상병 인하대 초빙교수는 “대권주자의 지명도로 지역구에 후보를 내지 않고 비례만 후보를 낸다는 것은 미래한국당(미래통합당의 위성정당)과 차이가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안 대표는 연동형 비례대표제 도입에서 한 역할이 없다”며 “지지도가 있다는 이유로 연동형 비례대표제에 숟가락을 얹고 비례 의석을 얻겠다는 것은 이미 국민들의 기대를 갖기 어렵다”고 짚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