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지역 구제역·AI 방역 체제 비상
일부 농가서 백신 항체율 기준 이하... AI항체 발견
경기도내 돼지농가 5곳 가운데 1곳 가량이 구제역 백신 항체(SP)률이 기준치를 밑도는 것으로 나타나 겨울철 방역에 비상이 걸렸다.
이천의 한 야생조류 서식지에서는 고병원성조류인플루엔자(AI) 항체가 발견되기도 했다.
도는 1일 돼지농가의 구제역 백신접종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516농가를 대상으로 혈청검사를 실시한 결과 약 19%인 96농가의 항체형성율이 기준치(60%)를 밑돌아 과태료 처분했다고 밝혔다.
이들 농가는 용인과 평택, 화성, 안성, 여주, 양평, 고양, 남양주, 연천 등 9개 시·군에 걸쳐 있다고 전했다.
이런 가운데 지난달 18일 이천시 부발읍 가좌리 복하천에서 야생조류를 포획, 채혈한 검사에서는 AI(H5형) 항체도 나왔다.
도 관계자는 "겨울철 철새에 의한 AI 바이러스의 유입 가능성이 확인된 것"이라며 "이는 AI 발생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했다.
이에 따라 구제역과 AI방역에는 비상이 걸린 상태다. 도는 전 돼지농가(1251호)에 담당공무원을 지정, 백신접종 여부를 일제 확인하는 등 안간힘을 쏟고 있다.
축산농가 출입자와 차량에 대한 기록을 작성해 보존토록 하는 등 차단방역도 강화하고 있다.
지난 10일부터는 구제역 방역대책상황실을 운영하며 도내 31개 시·군과 24시간 비상연락 및 보고체계를 유지하고 있다.
도내에서는 지난해 12월14일 양주를 시작으로 구제역과 AI가 잇따라 발생해 가축 173만여 마리가 살처분 됐다.
도 관계자는 "올 겨울은 구제역과 AI가 재발할 가능성이 높아 체계적이고 강도 높은 방역을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