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흑자 7년만에 최저…신종코로나 변수에 암울

반도체 경기 부진 등으로 지난해 수출 내리막 올해 흑자액 축소 전망

2020-02-06     박경순 기자
▲ 경상수지 규모 추이.(출처=뉴시스)

지난해 우리나라 경상수지 흑자가 7년만에 가장 적은 규모를 기록했다.

반도체 단가 하락과 미‧중 무역분쟁에 따른 글로벌 교역 둔화로 수출이 내리막을 탄 영향이다.

올해는 상품수지가 크게 만회되지 않는 한 경상수지 흑자액이 더 축소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확산으로 충격이 더해질 수 있다는 분석도 제기됐다.

한국은행이 6일 발표한 ‘2019년 12월 국제수지(잠정)’에 따르면 지난해 경상수지 흑자 규모는 599억7000만달러로 전년(774억7000만달러)보다 175억달러 감소했다.

지난 1998년 이후 22년 연속 흑자세를 이어갔지만 2012년(487억9000만달러) 이후 7년만에 최소치를 나타냈다.

경상수지 흑자가 쪼그라든 건 상품수지 흑자가 큰 폭 축소돼서다.

미‧중 무역분쟁에 따른 글로벌 경기 둔화세, 반도체 단가 하락, 중국으로의 수출 부진 등이 맞물리면서 수출은 지난해 5619억6000만달러로 전년(6262억7000만달러) 대비 10.3% 급감했다.

수출이 전년 동기 대비 감소한 것은 2016년 이후 3년만이다.

상품수지는 1년 전 1100억9000만달러 흑자에서 지난해 768억6000만달러 332억3000만달러 꺾였으며, 상품수지 흑자 규모도 지난 2012년(485억9000만달러) 이후 가장 적었다.

국제유가 하락세와 설비투자 부진 등의 영향으로 수입도 4851억1000만달러로 1년 전(5161억8000만달러)에 비해 6.0% 줄었다.

서비스수지는 230억2000만달러 적자를 내 전년(293억7000만달러)보다 다소 개선된 모습을 보였다.

여행수지를 중심으로 적자폭이 점점 개선되고 있다는 설명이다.

여행수지 적자는 지난해 106억7000만달러로 전년(165억7000만달러 적자)보다 크게 나아졌다.

중국을 중심으로 입국자수가 증가하면서 여행수입이 216억3000만 달러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한 영향이 컸다.

일본 여행객수 급감 등의 영향으로 출국자수가 정체되면서 여행지급(323억달러)도 전년(351억3000만달러)보다 축소됐다.

운송수지는 16억2000만달러 적자를 냈다.

무역 물동량이 줄어든 데에 영향을 받았다.

이는 2017년과 2018년에 이후 역대 3위 수준의 적자였다.

본원소득수지는 122억달러 흑자로 역대 최대치를 달성했다.

국내 기업들이 해외 현지법인으로부터 받은 배당금이 늘어난 영향이었다.

이로 인해 배당소득수지는 33억1000만달러 흑자를 내 2014년 이후 5년만에 처음으로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올해 경상수지는 지난해보다 더 축소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한은이 지난해 11월 전망한 올해 경상수지 흑자규모는 560억달러다.

상품수지 흑자 규모가 올해보다 확대되더라도 본원소득 수지 흑자 폭이 줄면서 경상수지 흑자규모도 다소 감소할 것이라는 관측이다.

특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라는 돌발 악재가 경상수지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진단이다.

지난해 12월 기준 경상수지는 43억3000만달러 흑자를 기록해 지난해 5월 이후 8개월 연속 흑자 기조를 유지했다.

다만 1년 전 같은달에 비해 흑자폭이 5억8000만달러 축소됐다.

상품수지 흑자도 50억3000만달러로 전년동월대비 16억달러 줄었으며, 수출은 480억4000만달러에 그쳐 13개월 연속 감소세를 이어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