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선대위 출범·野 컷오프 윤곽·安 탈당 ‘총선 가속도’

민주, 31일 1기 선대위 출범…총 10명 안팎 구성 한국, 컷오프 논의 “중진 험지로, 신인 가산점 개편” 안철수 신당 채비…정계개편 요동·보수측 ‘러브콜’

2020-01-30     박경순 기자
▲ 최고위원회의 참석하는 이해찬 대표와 이인영 원내대표.

4·15 총선이 70여일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여야는 각기 선거대책위원회를 출범하거나 컷오프(공천배제) 논의에 착수하는 등 앞다퉈 총선 체제 돌입을 서두르고 있다.

우선 더불어민주당은 오는 31일 이해찬 대표, 이낙연 전 국무총리를 상임 공동선대위원장으로 하는 선거대책위원회를 출범시킨다. 

당연직 최고위원도 공동 선대위원장으로 포함하는 선대위는 총 10명 안팎으로 구성될 예정이다.

1기 선대위는 과도기적 성격으로 운용되며, 후보 공천이 마무리되는 2월 말 3월 초께 조직을 대폭 확대한 2기 선대위를 발족한다는 방침이다. 수도권, PK(부산·경남), 호남 등의 선거를 책임질 권역별 선대위원장도 2기 선대위 때 인선할 예정이다.

당초 정기국회가 종료되는 지난해 12월 이후 선대위를 출범시키려던 방침에선 다소 늦어진 감이 있지만, 제정당 중 가장 빠른 선대위 출범으로 당을 본격적으로 선거 체제로 재편하겠다는 것이 민주당의 계산이다.

자유한국당은 현역 의원 등 총선 출마자들에 적용할 컷오프(공천 배제) 기준에 대해 본격적인 논의에 착수했다. 한국당은 컷오프와 함께 현행 청년·정치신인 가산점 제도도 전면 개편해 대대적 물갈이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홍준표 전 대표, 김태호 전 경남지사 등 고향 출마를 선언한 당대표·광역단체장을 지낸 중진급을 겨냥해선 “그분들이 신청하는 것을 그대로 받아들이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해 험지 차출을 시사했다.

이 밖에 총선 기획단이 정한 현역 의원 50% 물갈이 원칙 하에 컷오프 비율을 ‘3분의 1 이상’을 달성하겠다는 방침도 굳혀, 대구·경북(TK), 부산·경남(PK) 등 한국당 텃밭의 중진 의원들을 겨냥한 용퇴 압박도 한층 거세질 전망이다.

야권에서는 안철수 전 의원이 29일 바른미래당을 탈당함에 따라 보수통합, 호남 소통합으로 대표되는 정계개편 판도에 지각변동이 예상된다. 

앞서 안 전 의원은 손학규 바른미래당 대표와 만나 ▲비대위 전환 ▲손 대표 재신임 투표 ▲조기 전당대회 개최 등을 요구했지만, 손 대표가 이를 일축하면서 사실상 신당 창당으로 선회한 것으로 보인다.

안 전 의원은 기자회견에서 “실용적 중도정당이 성공적으로 만들어지고 합리적 개혁을 추구해 나간다면 수십 년 한국사회 불공정과 기득권도 혁파해 나갈 수 있을 것”이라며 “제게 주어지고 책임져야 할 일을 감당하고자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귀국 일성으로도 “실용적 중도 정치를 실현하는 정당을 만들겠다”며 신당 창당 의사를 밝혔었다.

안 전 의원의 탈당에 ‘반(反)문재인’을 기치로 보수통합을 추진하던 야당들은 러브콜을 보냈다. 

반면 호남계 정당들은 비판적 입장을 내놓거나 침묵하는 등 관망하는 모습을 보였다. 

호남 소통합을 추진하는 대안신당은 장정숙 수석대변인 논평을 통해 “여전히 모호하다. 그러므로 평가는 유보할 수밖에 없다”며 냉소적 반응을 내놓았다. 민주평화당은 논평을 하지 않은 채 침묵을 지켰다.

바른미래당 호남계를 비롯한 일각에선 안 전 의원을 고리로 결집되는 ‘어게인 국민의당’에 미련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호남에서 과거와 같은 ‘안풍(安風)’을 기대하긴 힘들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