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5 총선 3개월 앞으로…與 ‘이낙연 귀환’·野 ‘통합 가속’

이낙연, 민주당 복귀…선대위 중심 역할 예고 한국당-새보수당, 혁통위 통한 보수통합 논의

2020-01-15     박경순 기자
▲ 웃으며 떠나는 이낙연 전 총리.

제21대 총선이 15일 정확히 3개월 앞으로 다가오면서 여야도 본격적인 총선 레이스에 돌입하고 있다.

민주당의 필승 카드는 ‘정치 1번지’로 불리는 서울 종로 출마가 확실시되고 있는 이 전 총리다. 

문재인 정부의 초대 총리직을 수행하며 차기 대선후보 지지율 1위 주자로 우뚝 선 이 전 총리를 당의 간판으로 내세울 방침이다.

이 전 총리는 이날 오전 민주당 최고위원회의에 참석해 공식적으로 복귀를 선언하고 당 상임고문을 맡을 것으로 알려졌다.

설 연휴 이후 꾸려질 선대위도 이 전 총리를 중심으로 꾸려질 전망이다. 

높은 인지도를 바탕으로 이 대표와 함께 공동선대위원장을 맡아 종로뿐 아니라 전국 선거를 지원한다는 구상이다.

수도권은 이 전 총리, TK(대구·경북)는 김부겸 의원, PK(부산·경남)는 김영춘 의원 등의 식으로 권역별 리더를 두는 공동선대위원장 체제도 함께 검토되고 있다.

민주당은 이날부터 총선 공약의 순차 발표도 시작한다. 청년, 교육, 부동산 등 다양한 카테고리를 놓고 1호 공약을 저울질 중이다.

당초 ‘청년 신도시’ 등 청년층 관련 공약이 1호로 유력하게 거론됐지만 1호 공약의 상징성을 감안할 때 특정 세대에 한정되기보다는 전체를 아우를 수 있는 공약을 내세워야 한다는 의견 쪽으로 기운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당도 이번 주 안에 공천관리위원회를 띄울 방침이다. 

한국당은 4명의 공관위원장 후보를 추린 상태로 이르면 이날 최고위에서 최종 후보를 의결할 것으로 전해졌다.

이후 공관위원장을 포함해 최대 9명 정도 규모로 공관위를 꾸려 공천 작업을 주도하게 할 예정이다.

중도보수 진영의 대통합을 추진하기 위한 논의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한국당은 새로운보수당(새보수당)이 통합의 조건으로 내건 ‘보수재건 3원칙’에 동의했고 새보수당은 양당 간 대화의 시작을 알리면서 지난해 11월 황교안 대표가 선언한 뒤로 지지부진했던 보수통합 논의는 급물살을 탄 상태다.

그 결과 한국당과 새로운보수당을 비롯해 보수 진영의 정당·시민단체가 참여하는 혁신통합추진위원회(혁통위)는 전날 첫 발을 뗀 데 이어 이날부터 매일 정기적으로 회의를 갖기로 했다.

한국당은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비례자유한국당’ 명칭 사용 불허 결정에도 위성정당 전략은 계속 추진하기로 했다. 

보수대통합이 위성정당 추진 과정에서 변수가 될 수도 있다.

한국당이 새로운보수당을 포함해 보수 진영의 정당들과 통합신당을 만들 경우 신당의 상징성을 담아 위성정당 명칭을 변경하거나 비례자유한국당 대신 ‘자유한국당’을 위성정당 당명으로 쓸 수 있을 것이라는 관측이다.

야권 통합 또는 중도 신당의 한 축으로 주목받는 안철수 전 국민의당 대표는 빠르면 이번주 내에 귀국할 것으로 알려졌다.